• {url:./treeAjax?siteMode=prod}

화곡공유고(花谷公遺稿)

자료명 화곡공유고(花谷公遺稿) 저자 柳鼎漢(朝鮮. 1780 - 1838)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유정한(조선.1780-1838)찬(柳鼎漢(朝鮮.1780-1838)撰)
청구기호 K4-6672 MF번호 MF35-148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447
서명花谷公遺稿
저자柳鼎漢(朝鮮. 1780 - 1838) 撰
판사항木活字版
간사사항高宗17 (1880)
청구번호K4-6672
MF번호MF35-1481
형태사항線裝 1冊(53張):四周單邊, 半郭 21 × 14.8 cm, 有界, 半葉 10 行 18 字, 上黑魚尾;30.5 × 20 cm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25-0582 * 화곡유고<2> (花谷遺稿) 조선 후기의 학자 유정한(柳鼎漢, 1780∼1838)의 시문집. 불분권 1책.목활자본. 저자의 본관은 서산(瑞山). 자는 취여(聚汝), 호는 화곡(花谷). 아버지는 최묵(最默)이며, 어머니는 능성구씨(綾城具氏)로 정삼(鼎三)의 딸이다. 송환기(宋煥箕)의 문인이다. 문장과 덕행으로 사림의 추앙을 받았다. 이 책은 1880년(고종 17) 종손 재호(在浩)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익진(金翊鎭)의 서문과, 권말에 재호의 발문이 있다. 시 19수, 서(書) 5편, 잡저 1편, 부록의 행장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는 칠언고시·오언고시·칠언율시·칠언배율 등의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서 중 〈답안기반서 答安基磐書〉는 “용학(庸學)에서 수신(修身)과 입언(立言)은 같지 않다."는 안기반의 논술에 답한 글이고, 이밖에 주로 만물의 이치를 생활관에 부쳐 논설한 것이 있다. 의리(義理)의 공부와 성현의 학문에 있어서 실천에 주력한 점이 드러나 있다. 잡저인 〈구시급방계가서 救時急方戒家書〉는 시폐(時弊)를 고쳐 풍속을 바로잡을 것을 강조한 가훈으로, 역대의 현모양처와 효자·열녀들을 열거하고 교훈삼을만한 휼륭한 점을 하나하나 들어 설명하였다. 발문에 의하면, "적지않은 저술이었으나 불행히도 화재에 소멸되었다."고 하였는데, 수록된 시문만으로도 저자의 인격과 학문의 깊이를 살펴볼 수 있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에 있다. 〈盧弘斗〉
청구번호_정렬01_K4-6672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