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호고와선생문집(好古窩先生文集)

자료명 호고와선생문집(好古窩先生文集) 저자 柳徽文(朝鮮)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4-6668 MF번호 MF35-1455~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442
서명好古窩先生文集
저자柳徽文(朝鮮) 撰
판사항木版
간사사항[純祖末 - 純宗(1828 - 1910)]
청구번호K4-6668
MF번호MF35-1455~6
형태사항線裝 19卷 10冊:四周雙邊, 半郭20.4 × 15.5 cm, 有界, 半葉 10 行 20 字, 註雙行, 內向二葉花紋魚尾;31.8 × 20.7 cm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外1種
안내정보
해제24-2147 * 호고와문집 (好古窩文集) 조선 후기의 학자 유휘문(柳徽文)의 시문집. 원집 19권, 별집 8권과 부록 합 15책은 목판본으로 1898년 후손에 의하여 간행되었으며, 외집(外集)은 6권 3책 석인본으로 5대손 병희(秉熙)에 의하여 1972년 간행되었다. 또, 속집(續集) 6권 3책은 필사본으로 전하던 것을 족후손 정기(正基)가 1985년 〈전주유씨수곡파지문헌총간 全州柳氏水谷派之文獻叢刊〉을 영인 출간할 때 수록하였다. 원집에는 유필영 (柳必永)과 병희의 발문이 있으며, 원집은 권1·2에 350여수의 시가 실렸는데 서경을 겸한 서정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권3∼9의 서(書) 132편은 학문적 질의응답이 대부분인데, 스승인 유장원(柳長源)을 비롯하여 동학들과 경학·성리학의 의문점을 질의, 응답한 것이다. 권10∼17은 잡저인데, 그 중 〈독서쇄의 讀書〈쇄0x6720〉義〉는 사서삼경에 관하여 종래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구문이나 주석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쓴 것으로 경서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권12의 〈암재기문 巖齋記聞〉은 〈대학〉·〈논어〉·〈성학십도 聖學十圖〉 등에서 문제될만한 곳에 주석을 가한 것이며, 〈두릉일기 杜陵日記〉는 유장원의 문하에서 공부할 때 남자호(南子〈호0x7B65〉)와 더불어 질의, 응답한 내용을 일기체로 쓴 것이다. 권13의 〈천재강록 泉齋講錄〉·〈관규참언 管窺僭言〉은 태극도 (太極圖)와 〈근사록 近思錄〉에 대한 자신의 연구와, 〈소학〉·〈황명속강목 皇明續綱目〉·〈계몽고의 啓蒙攷疑〉 등의 편찬경위와 편차 등을 소개한 것이다. 권15의 〈석궁보 釋宮補〉는 옛날 궁실제도를 연구한 자료로, 건물의 위치·명칭 등이 명기되어 이 방면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금률설고해 禁律說攷解〉·〈성률변고해 聲律辨攷解〉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론을 밝힌 것이다. 권16·17의 〈서유록 西遊錄〉·〈북유록 北遊錄〉·〈남유록 南遊錄〉·〈동유록 東遊錄〉은 국내외의 여행기록이다.〈서유록〉은 1817년 서울에 다녀온 기행문으로, 석전(釋奠) 때 사용하던 편종(編鐘)·편경 (編磬)의 숫자 등 제례음악(祭禮音樂)에 대한 논의도 보인다. 권18에는 〈가례고증서 家禮考證序〉·〈소학장구서 小學章句序〉 등 서 6편, 〈유동호기 遊東湖記〉 등 기 5편, 〈서육현금보후 書六絃琴譜後〉·〈운대사강회록지 雲臺寺講會錄識〉 등 발(跋) 7편, 기후와 조수에 관한 연구인 〈동하음양승강설 冬夏陰陽升降說〉·〈조석설 潮汐說〉 등 설 3편, 권19에는 명(銘)·사(辭)·장(狀) 등 4편, 제문 16편, 묘지 4편, 축문·행록 모두 각 1편이 실렸다. 별집 8권은 모두 잡저인데, 권1·2의 〈관복고증 冠服考證〉은 고대의 모자와 복장에 관한 고증적 연구로, 태백관(太白冠)·치포관(緇布冠)·주현관(周玄冠)·진현관(進賢冠) 등 모자를 비롯, 허리띠·신발 등 20여 조목으로 분류, 기술하였다. 권3·4의 〈가례고증〉은 주희(朱熹)의 〈가례〉를 연구, 고증한 것으로, 통례(通禮)·관례·혼례·상례·제례로 나누어 서술하였으며, 권5∼7의 〈계몽고의 啓蒙攷疑〉는 주희의 〈역학계몽 易學啓蒙〉 중에 어렵거나 의심스러운 곳을 연구, 해석한 것으로, 이황(李滉)의 〈계몽전의 啓蒙傳疑〉, 서명응(徐命膺)의 〈역학계몽집전 易學啓蒙集箋〉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주역〉 연구서 중의 하나이다. 부록에는 저자의 연보를 비롯, 만사·가장·행장·묘갈명 등을 실었다. 외집은 〈창랑문답 滄浪問答〉이다. 천지의 이수(理數)를 규명하기 위한 동양 전래의 학문인 천문·지리·음양·오행·역수로부터 운명(運命)·율려(律呂)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32세 때인 1804년 (순조 4)의 저작으로, 창랑주인(滄浪主人)과 사의객(〈사0x64DF〉衣客)이 대좌하여 문답하는 형식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창랑은 저자 자신이요, 객은 논리전개를 유발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상인물이다. 총 170조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동양 전래의 지구중심우주론이라 할 수 있다. 속집은 원집에서 빠진 것을 수집한 것으로, 권1에 시 121수, 권2·3에 서(書) 79편, 서(序) 1편, 기 6편, 지발(識跋) 7편, 잠명·상량문 각 1편, 권4에 설 2편, 축문 1편, 제문 27편, 애사 3편, 뇌사(〈뢰0x5E68〉辭) 5편, 잡저 1편, 권5에 잡저 1편, 권6에 잡저 3편과 부록을 각각 실었다. 설의 〈인물성동이설 人物性同異說〉에서는 인물동성(人物同性)을 주장하는 낙론(洛論)과 인물이성(人物異性)을 주장하는 호론(湖論)을 다 배척하고,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같다는 절충설을 주장하고 있다. 잡저 중 〈시괘고오해 蓍卦考誤解〉는 주희의 〈시괘고오〉를 재해석한 것으로, 〈주역〉의 시초점(蓍草占)을 연구하는 데 하나의 지침서가 된다. 〈독서쇄의〉는 경서 중에 난해하거나 의심되는 곳을 찾아 그 뜻을 풀이한 것이며, 〈북유록물산요속 北遊錄物産謠俗〉은 우리나라의 토산물에 대한 연구로, 곡식·과일 등을 비롯하여 해산물인 어류까지 망라하여 다루고 있다. 이밖에 〈만록 〈만0x5FDF〉錄〉에서는 전문적인 연구는 되지 못하지만 우리의 토산품 연구사에 언급되어야 할 자료이다. 잡저는 유학발전사에서 볼 때 양명학이나 서학(西學)에 휩쓸리지 않고 유교의 순수성을 꿋꿋이 지켜온 공은 퇴계학파인 영남지방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원집·별집은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고, 외집과 속집은 〈전주유씨수곡파지문헌총간〉 제10집에 실려 널리 유포되어 있다. 〈權永大〉
청구번호_정렬01_K4-6668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