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잠와유고(潛窩遺稿)

자료명 잠와유고(潛窩遺稿) 저자 이명준(조선)(李命俊(朝鮮)) 찬(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4-6441 MF번호 MF35-118616-46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192
서명潛窩遺稿
저자李命俊(朝鮮) 撰
판사항倣整理字木活字版
간사사항[純祖年問(1801 - 1834)]
청구번호K4-6441
MF번호MF35-118616-465
형태사항線裝 4卷2冊:四周雙邊, 半郭 22.2 × 14.8 ㎝, 有界, 半葉 10行20字, 註雙行, 上二葉花紋魚尾;33.2 × 20.7 ㎝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19-0170 * 잠와유고 潛窩遺稿 조선 중기의 문신 이명준(李命俊)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749년(영조 25) 후손 징도(徵道)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첫머리에 이종성(李宗城)의 서문이, 권말에 정홍명(鄭弘溟)의 발문이 있고, 권두에 저자의 연보가 있다. 권1은 시 136수, 권2는 소(疏) 6편, 전(箋) 1편, 서(書) 5편, 권3은 제문 4편, 책(策) 4편, 서(序) 2편, 잡저 3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신도비명·묘지명·사제문(賜祭文) 각 1편, 제문 9편, 만사 10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는 칠언절구가 93수로 가장 많다. 또한, 사대부계층의 일반적 정서와 교양의 한 표현으로서 교훈적 내용이나 의리정신을 담은 작품이 많다. 소 가운데 <혼조간폐대비소 昏朝諫廢大妃疏>는 1617년(광해군 9)에 올린 것으로, 광해군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려 하자 인륜에 어긋나는 처사라 하여 불가함을 주장한 내용이다. <진시폐소 陳時弊疏〉는 1630년(인조 8)에 올린 것으로, 당시 정치의 폐단을 비판하고 올바른 정치를 위하여 임금이 몸소 왕도의 실천에 앞장설 것을 진언하며 9개항의 시정책을 건의하였다. 그 내용 가운데 내치를 위한 것으로는 엄궁금(嚴宮禁)·중전선(重銓選)·청간쟁(聽諫諍)·명상벌(明賞罰)·택수령(擇守令) 등을 들었고, 국방에 관한 것으로는 택장수(擇將帥)·초무력(招武力)·치둔전(治屯田)·정성지(整城池) 등을 들었는데,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잘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잡저의 <예설 禮說>은 예학에 대한 깊은 연구를 보여주고 있다. <유산록 遊山錄>은 1628년 강릉부사로 나가 있을 때 두 아들 현기(顯基)·선기(善基), 친지 박시창(朴時昌) 등과 함께 금강산을 구경하고 쓴 기행문이다. 장서각도서와 규장각도서에 있다. 〈韓如愚〉
청구번호_정렬01_K4-6441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