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이우당집(二憂堂集)

자료명 이우당집(二憂堂集) 저자 趙泰采(朝鮮)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4-6406 MF번호 MF16-45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154
서명二憂堂集
저자趙泰采(朝鮮) 撰
판사항後期芸閣印書體字混入木活字版
간사사항[英祖中期 以後 (1750 - 1767)]
청구번호K4-6406
MF번호MF16-457
형태사항線裝 6卷3冊:四周雙邊, 半郭 21.3 × 13.5 ㎝, 有界, 半葉 10行20字, 註雙行, 上黑魚尾;29.0 × 18.2 ㎝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杞溪兪拓基印
안내정보
해제18-0473 * 이우당집 (二憂堂集) 조선 후기의 문신 조태채(趙泰采)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나, 대략 영조 말년에 출간된 듯 하다. 권1은 시 134수, 권2는 시 108수, 차(箚) 2편, 소(疏) 2편, 권3·4는 소 35편, 차 6편, 권5는 소 15편, 차 3편, 서(書) 2편, 권6은 서 6편, 차 7편, 계사(啓辭) 9편, 수의(收議) 16편, 치제문 2편, 불윤비답(不允批答) 1편, 묘표 2편, 명(銘)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2∼5에 수록된 소와 차는 사 직(辭職)에 대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중 차는 거의 옥당연명(玉堂聯名)으로 된 청문(請文)이다. 계사와 수의는 대개 노론·소론 대립의 정치알력과 그로 인한 정치적 타락 및 백성들의 고초를 파헤친 것으로, 당시 사회의 부패상을 알 수 있는 포괄적인 자료이다. 수의 가운데 〈양전신구척당부의 量田新舊尺當否議〉는 양전에 있어서 자〔尺〕의 사용에 대하여 논한 글이다. 즉, 종전에 쓰던 자에 비하여 새로운 자가 긴데 조세는 종전과 같이 부과하는 불합리성을 지적하여 양전실시 유무와 상관없이 신척제도를 적용, 조세를 실시한다면 불합리성이 해소되고 백성들의 원망도 없어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韓如愚〉
청구번호_정렬01_K4-6406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