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온재유고(韞齋遺稿)

자료명 온재유고(韞齋遺稿) 저자 金鎭玉(朝鮮)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김진옥(조선)찬(金鎭玉(朝鮮)撰)
청구기호 K4-6308 MF번호 MF16-44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046
서명온齋遺稿
저자金鎭玉(朝鮮) 撰
판사항木活字版
간사사항光武 5(1901)
청구번호K4-6308
MF번호MF16-443
형태사항線裝 6卷2冊:四周單邊, 半郭 20 × 15.5㎝, 有界, 半葉 10行18字, 註雙行, 內向二葉花紋魚尾;30.3 × 20.2 ㎝
인기印 : 李□庠章, 李王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16-0313 * 온재유고 (<온0x6BA8>齋遺稿) 조선 중기의 문 신·학자 김진옥(金鎭玉)의 시문집. 6권 2책. 목활자본.1849년(헌종 15) 후손 재선(在宣)·명수(命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홍직필(洪直弼)과 후손 재수(在洙)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82수, 권2는 연대(筵對) 2편, 기(記) 2편, 발(跋) 6편, 권3은 서(書) 19편, 권4는 묘표 2편, 행장 3편, 권5는 고문(告文) 13 편, 제문 19편, 잡저 4편, 권6은 부록으로 제문·가장(家狀)·행장·묘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에는 이건명(李健命)·정철(鄭澈) 등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있으며, 첩운(疊韻)을 쓴 것이 비교적 많다. 또한, 당시의 재상 조태채(趙泰采)의 죽음을 애도하여 쓴 추모시가 있다. 기 가운데 〈나주보역청기 羅州補役廳記〉는 나주지방에 사신과 관리가 자주 내왕하여 이들을 접대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역청을 설치하고 그 경위를 밝힌 글이다. 〈나주양사재중수기 羅州養士齋重修記〉는 나주지방민의 교육을 위하여 세운 양사재를 수리하게 된 내력을 밝힌 글이다. 서는 당대의 유명한 문신인 이이명(李<이0x6EEF>命)·권상하(權尙夏) 등에게 보낸 것으로, 주로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묘표·묘지·행장·고문 등은 주로 저자의 가계와 관련된 기록이다. 잡저에는 송시열(宋時烈)의 제자인 저자가 스승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것을 기뼈하여 쓴 〈상자찬 像自贊〉, 송시열에 관하여 기록한 〈만의기문 萬義記聞〉등이 있다. 부록 중 사제문은 영조의 명으로 예조좌랑 김성한(金聲翰)이 지은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梁鴻烈〉
청구번호_정렬01_K4-6308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