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오리선생문집(梧里先生文集)

자료명 오리선생문집(梧里先生文集) 저자 李元翼(朝鮮) 撰
자료명(이칭) 오이선생문집(梧里先生文集) 저자(이칭) 이원익(조선)찬(李元翼(朝鮮)撰)
청구기호 K4-6287 MF번호 MF16-442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4022
서명梧里先生文集
저자李元翼(朝鮮) 撰
판사항木版
간사사항肅宗 17(1691)
청구번호K4-6287
MF번호MF16-442
형태사항線裝 本集 6卷, 附錄 5卷, 補遺 1卷, 4冊:四周雙邊, 半郭 23.0 × 15.5 cm, 有界, 半葉 10行 20字, 註集行, 內向三葉花紋魚尾;32.5 × 20.4 cm
인기印 : 李王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15-1740 * 오리문집 (梧里文集)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원익(李元翼)의 시문집. 본집 6권, 부록 5권, 속집 2권, 별집 2권, 부록 2권 합 7책. 목판본. 1691년(숙종 17) 그의 증손인 상현(象賢) 등에 의하여 원집이 편집, 간행되었으며, 1705년 현손인 존도(存道)에 의하여 속집이 편집, 간행되었다. 원집의 권두에 권유(權愈)와 허목(許穆)의 서문이 있고, 속집의 권두에는 이서우(李瑞雨)의 속집 서문과 권말에 강영(姜#영)·이인복(李仁復)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잡저·제문·책·표, 권2는 주문(奏文)·소(疏)·차(箚)·계사(啓辭), 권3은 소·차·계사, 권4는 소·차·연중논사(筵中論事), 권5는 소·차·계사, 권6은 소·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의 권1은 연보·묘지, 권2는 시장(諡狀)·유사, 권3은 교유서(敎諭書)·불윤비답 (不允批答), 권4는 사궤장연창수시(賜<궤0x588E>杖筵唱酬詩), 권5는 제문·삼현사기(三賢詞記)·상량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집의 권1은 소차·계사, 권2는 교의(敎議)·장계(狀啓), 습유(拾遺)로 시·묘지·서후(書後)·서(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별집의 권1·2은 인견주사(引見奏事), 부록의 권1은 연보·제문·만사, 권2는 행장·영당기(影堂記)·비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소차나 계사는 많은 관직을 두루 역임하면서 자신의 직무상 일어난 여러가지 보고문과 사직·상소 등으로, 임진왜란을 전후한 당시의 복잡하였다. 또한, 수의(收議)나 장계는 주로 임진왜란을 당하여 적정(敵情)과 그에 대한 대비책 및 전투상황 등을 보고한 것으로, 임진왜란을 치르면서 겪었던 당시의 사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많다. 별집의〈인견주사〉는 임금의 인견을 받아 주대(奏對)한 것으로 당시의 정사를 논의한 것이다. 이에는 임진왜란·정묘호란 등 나라의 어려움을 당하여 복잡하였던 시정(時政)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많이 있다. 별집 부록의〈연보〉는 원집〈연보〉에 잘못된 것이 많다고 하여 다시 고쳐서 실은 것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이괄(李适)의 난 등 국난을 겪을 때, 제도도체찰사(諸道都體察使)·삼공(三公) 등을 역임하면서 눈부신 활약을 한 저자의 행정적인 소차·장계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당시의 여러 상황을 살펴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權五虎〉
청구번호_정렬01_K4-6287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