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간의공유고(諫議公遺稿)

자료명 간의공유고(諫議公遺稿) 저자 宋敎明(朝鮮) 撰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송교명(조선)찬(宋敎明(朝鮮)撰)
청구기호 K4-5713 MF번호 MF35-186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別集類/詩文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전자도서관(SJ_LIB)
서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장서각기록유산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상세정보 해제 xml

닫기
자료제공처전자도서관
번호113389
서명諫議公遺稿
저자宋敎明(朝鮮) 撰
판사항寫本
간사사항[寫年未詳]
청구번호K4-5713
MF번호MF35-1863
형태사항線裝1冊(44張):左右雙邊, 半郭19.8 × 13.3 ㎝, 烏絲欄, 半葉10行20字;22.1 × 23.1 ㎝
인기印 : 李主家圖書之章
안내정보
해제~ 01-0458 간의공유고 (諫議公遺稿) 조선 후기의 문신 송교명(宋敎明, 1691∼1742)의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저자의 자는 치숙(治叔). 아버지는 좌찬성에 추증된 징규(徵奎)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호조정랑 성린(聖麟)의 딸이다. 1730년(영조 6)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에 들어가 주부·지평·정언·수찬·교리·이조정랑·사서(司書)·교수·필선(弼善) 등을 역임하고, 외직을 거쳐 다시 판결사(判決事)·승지·대사간에까지 이르렀다. 이 책은 서문·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나 필사연도를 알 수 없다. 시 7수, 소 27편, 계(啓) 1편, 기 1편과 부록으로 지문(誌文)과 그의 아들 익수(翼洙)의 유고인 위헌공유고(韋軒公遺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는 대부분이 사직소 (辭職疏)인데, 이 가운데 〈삼등령체귀후진읍막소 三登令遞歸後陳邑<막0x5FC2>疏〉는 그가 3개월 동안 삼등현령으로 있을 때 그곳 백성들의 황폐한 경제생활의 원인을 상세히 분석하여 그 대책을 제시한 것으로, 그의 관료로서의 성실성·청백성을 증명해주는 글이다. 그 원인으로 지방관의 책임회피, 지방관의 짧은 임기, 아전들의 협잡, 장부의 조작, 농민들의 지나친 과세부담, 농토의 피폐화 등을 들고 있다. 계에서는 ‘식노마(式路馬)’·‘과공문즉하(過公門則下)’·‘망허위즉추 (望虛位則趨)’ 등의 올바른 해석과 적용에 대해 논변하면서 간신배들의 아첨이 임금의 눈과 귀를 속이는 행위를 비판하였고, 형옥(刑獄)에 있어서 올바르게 할 것과 억울한 심판이 없도록 기간에 관계없이 얼마든지 재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지방관들의 비행, 특히 사치스런 생활과 축첩행위를 집중적으로 논박하였으며, 지방의 재야 선비들의 주 장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에게도 언로를 열어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기의 〈속리산기 俗離山記〉는 1740년 속리산을 유람하며 쓴 기행문으로, 속리산의 풍경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韓如愚〉
청구번호_정렬01_K4-5713
자료분류고서 > 장서각 본도서 > 한국본 > 集部 > 別集類 > 詩文
CLASSCODEJAKDBB
PDF책수
희귀본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