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각송(靈壽閣頌)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영수각송 |
---|---|
· 자료명(한자) | 靈壽閣頌 |
· 사부분류 | 집부 |
· 작성시기 | 1765(영조 41년) |
· 청구기호 | K4-235 |
· 마이크로필름 | MF35-1726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가치정보 | 귀중본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이정보(李鼎輔) 봉교제진(奉敎製進) | 이정보 | 李鼎輔 |
형태사항
· 크기(cm) | 40.7 X 26.4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첩장(帖裝) |
· 수량 | 1첩(帖)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1765년(영조 41) 靈壽閣에서 展拜禮를 행한 뒤에, 영조
가 신료들에게 獻壽 받은 일을 기념하는 글을 지으라는 명을 내려 李鼎輔
(1693~1766)가 지어 올린 시문과 그림이 수록된 필사본이다.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영조
의 傳旨, 영수각 그림, 영조
의 명을 받아 李鼎輔
가 지어 올린 시문 들이 실려 있다. 먼저 영조
의 전지에는 1765년(영조 41) 8월 28일 영조
가 선대를 추모하기 위해 靈壽閣에 나아가 展拜禮를 행하고 耆社의 제신들에게 궁중의 사온서에서 빚은 술을 하사한 사실, 왕세손이 어가를 따랐으며 누가 수행하였는지를 밝히고 있다.다음 두 면에는 영수각의 그림이 있다. 한 면은 비어 있는 영수각의 모습이고, 다음 면은 이날의 행사가 진행되는 모습이다. 그 뒤에 이정보 가 이날의 일을 설명하는 산문이 있고, 말미에는 영조 에게 바치는 頌이 3편 기록되었다. 맨 뒤의 좌목에는 兪拓基 , 李喆輔 , 李鼎輔 등 8명의 직함과 이름이 기록되었다.
이정보 의 설명에 따르면, 영조 는 왕세손을 거느리고 영수각에 거둥하여 耆社의 제신과 大臣, 부원군과 부마 등과 함께 展拜禮를 행하였다. 이어 耆英館에 나아갔는데 왕세손을 비롯한 여러 신료가 헌수하였다. 영조 는 이 일을 기념하기 위해 글을 지어 內殿과 東宮에 올리고 耆社에 보관하도록 이정보 에게 명하였다.
이정보 는 326년 전에 太祖 가 耆社에 든 일을 먼저 언급한 뒤, 1719년(숙종 45)에 숙종 이 기사에 든 일을 언급하고 그 일을 계승하여 영조 가 기사에 든 지 22년이 흘렀다고 하여 역대 왕의 장수와 기사에 든 일을 칭송하였다. 또한 영조 에게 曾子와 閔子騫과 같은 효성이 있다고 칭송하였다. 송은 4언6구로, 운자는 ‘止’이다. 영수각은 耆老所 안에 있는, 御帖을 보관하던 누각이다.
집필자
김유경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