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열성어제(列聖御製)

자료명 열성어제(列聖御製) 저자 오광운(吳光運), 원경하(元景夏) 등(等) 봉교편(奉敎編)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낭선군우(조선)(郎善君俁(朝鮮)) 봉교편(奉敎編)
청구기호 K4-11 MF번호 MF35-2204~6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集部/總集類/御製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집부
· 작성시기 1776(정조 즉위년)
· 청구기호 K4-11
· 마이크로필름 MF35-2204~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오광운(吳光運)

형태사항

· 크기(cm) 34.6 X 22.5
· 판본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현종실록자(顯宗實錄字))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9권(卷) 2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8×17.0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76년(정조 즉위년)吳光運(1689~1745)·元景夏(1698~1761)를 비롯해 蔡濟恭(1720~1799) 등이 왕명을 받아 기존의 『열성어제』에 영조(1694~1776)의 어제를 덧붙여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정조 대에 간행된 『열성어제』는 40권 21책본이다. 40권 21책본은 본편이 37권 19책, 목록이 3권 2책이다. 영조 대에 편찬된 『열성어제』는 숙종어제에 숙종어제별편의 수록 여부에 따라 본편의 卷數가 다른 두 개의 판본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정조 대에 간행된 『열성어제』는 숙종어제에서 숙종어제별편을 분리하여 영조어제별편과 합쳐 列聖御製別編을 간행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 본편의 卷數가 상이한 판본이 간행되지 않게 되었다. 이때 간행된 열성어제별편이 장서각에 청구기호 K4-26로 소장되었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영조가 승하하고 정조가 즉위한 지 4개월 만인 1776년(정조 즉위) 7월 6일에 간행되었다. 정조가 즉위하자마자 서둘러 간행할 수 있었던 것은, 다른 국왕과는 달리 영조가 생전에 자신의 어제를 몇 차례에 걸쳐 編次하였기 때문이다. 編次人은 8명으로 이 책이 간행된 당시 이미 사망한 오광운·원경하 이외에 구윤명·채제공 등이 포함되었다. 교정은 구윤명을 위시해 洪國榮 등 13명이 참여하였고, 監印은 金洪運이 담당하였다.
본 도서에 실린 영조어제는 권18부터 시작된다. 권18에 시 250여 수, 권19에 시 200여 수, 권20에 시 200여 수, 권21에 시 200여 수, 권22에 문 22편, 권23에 문 70편, 권24에 문 67편, 권25에 문 71편, 권26에 문 17편, 권27에 문 22편, 권28에 문 27편, 권29에 문 30편, 권30에 문 36편, 권31에 문 33편, 권32에 문 38편, 권33에 문 67편, 권34에 문 36편, 권35에 문 32편, 권36에 문 52편, 권37에 문 68편 등이 실려 있다.
목록은 3권 2책으로 1726년(영조 2) 『열성어제』를 속간할 때 처음 만든 권1, 2에 영조어제의 목록만을 수록한 권3을 추가하였다. 목록에 있던 범례도 기존의 내용에 1776년에 새로 정한 편집 원칙을 덧붙인 것이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국왕의 의식이나 문학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새롭게 추가된 영조어제를 통해서 영조의 활발한 문예나 저술 활동과 국가나 사회의 운영 방향을 가름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藏書閣 所藏 『列聖御製』와 國王文集의 편찬과정」, 이종묵, 『藏書閣』 창간호,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9.
「『列聖御製』 解題」, 김남기, 『列聖御製』 1,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2.

집필자

이근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