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노운삼관통(老耘三官通)

자료명 노운삼관통(老耘三官通) 저자 윤동절(尹東晢) 저(著)
자료명(이칭) 老耘三官通 저자(이칭) 尹東晳(朝鮮) 著 , 윤동석(조선)(尹東晳(朝鮮))
청구기호 K3-612 MF번호 MF35-125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隨錄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필사년미상(筆寫年未詳)
· 청구기호 K3-612
· 마이크로필름 MF35-125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윤동절(尹東晢) 저(著)

형태사항

· 크기(cm) 29.5 X 19.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3권(卷) 5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5×13.7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尹東晢(1722~1789)의 문집이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다소 독특한 체재의 문집이다. 권두에 목록이 있다. 권1~3은 易解說인데 『周易』에 대한 해설이다. 권1은 上經, 권2는 下經으로 각각 30괘, 34괘의 해설이 있다, 그리고 권3에 四傳이라는 편명 하에 繫辭傳, 說卦傳, 序卦傳, 雜卦傳에 대한 해설이 있다. 권4는 爾言이다. 짧은 格言을 주제별로 모은 글이다. 聖繼(88), 古之人(88), 問孝(51), 全所(59)의 네 가지 주제 총 286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5는 家傳이다. 가정의일상적인 준칙으로, 대대로 실추하지 말라는 뜻에서 지은 것이다. 가전의 내용은 다시 분권하여 권1은 七則, 권2는 四禮(上), 권3은 四禮(下)로 구성되어 있다. 「冠禮圖」를 비롯한 圖說도 다수 실려 있다. 권6~9는 輯稿이다. 저자의 시문이 문체별로 분류되어 있다. 권6의 心典은 心을 의인화한 天君의 言述을 기록한 것으로, 『書經』을 본뜬 글이다. 권7은 書牘으로 李陽中, 曺允明, 沈濰, 具允斌, 宋明欽, 吳泰魯, 鄭壽延 등에게 보낸 편지이다. 권8의 寓戒는 箴銘, 言志는 詩, 編著는 序·跋·識·說·論·辨 등이다. 권9의 疏草는 上疏文, 叙述은 追錄, 墓誌, 碑記 등이며, 酹告文은 祭文, 告由文, 祝文이다. 권10~13은 履考이다. 문집의 부록에 해당한다. 권10~12의 生平曆은 저자가 편집한 자신의 연보이며, 권13의 本末에 世系, 自傳, 諭祭文 등이 실려 있다. 저자의 기록은 1788년(정조 12)에서 끝나고 저자의 죽음에 관한 기록은 追錄으로 덧붙여져 있다. 그리고 본 도서에 수록된 유제문이 1789년(정조 13)에 내려진 것이므로, 본 도서는 저자 사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곳곳에 교정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간행을 준비하던 본으로 보이며, 규장각에 동일한 체재의 필사본 및 본 도서에 수록되지 않은 시문을 모은 拾遺가 소장되어 있다.

집필자

장유승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