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악학궤범(樂學軌範)

자료명 악학궤범(樂學軌範) 저자 성현(조선)(成俔(朝鮮)) 등(等) 봉명편(奉命編)
자료명(이칭) 樂學軌範 , 악학궤범(樂學軌範) 저자(이칭) 成俔(朝鮮) 等奉命編
청구기호 K3-589 MF번호 MF16-33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藝術類/雜技藝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933
· 청구기호 K3-589
· 마이크로필름 MF16-33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성현(조선)(成俔(朝鮮)) 등(等) 봉명편(奉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27.3 X 17.3
· 판본 영인본(影印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9권(卷) 3책(冊)
· 판식 반곽(半郭) 19.0×12.9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493년(성종 24)成俔(1439~1504)이 편찬한 음악이론서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은 ‘樂學軌範’이다. 1933년 古典刊行會에서 影印한 冊으로, 表紙裏面에 수록된 내용으로 보아 1610년 太白山史庫 內賜本을 저본으로 삼은 것을 알 수 있다. 1493년 成俔이 쓴 序와 李廷龜의 跋文이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총 9권 3책으로 아악·당악·향악의 음악이론, 정재, 악기, 의물, 복식 등 당시의 음악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樂學軌範』 판본은 호우사문고(임란이전)본, 1610년(광해군 2) 태백산본, 1655년(효종 6)본 등 3개의 판본이 전한다. 본 도서는 1610년 본을 1933년 영인한 영인판이다. 1610년 본이 호우사문고본과 다른 점은 誤刻된 부분, 글자의 위치, 方響 도설 등이나 전체적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권1은 『율려신서』·『세종실록』권136·『악서』·『세조실록』권 48 등에 산견되어 있는 아악·당악 ·향악의 음악 이론을 인용하여 정리하였다. 권2는 아악과 속악의 용례 중 오례의, 성종대·세종대의 등가와 헌가를 도설하는데 특히 속악 진설을 상세히 다루었다. 권3은 『고려사』 악지에 있는 당악정재 5종인 헌선도·수연장·오양선·포구락·연화대와 속악정재 3종인 무고·동동·무애를 정리하였다. 권4는 성종대 당악정재를 圖儀한 것이고, 권5는 성종대 향악정재를 圖儀한 것이다. 세종 때 鄕唐交奏 형식의 보태평·정대업·봉래의 등 향악정재 춤의 절차를 자세히 기술하였다. 권6과 권7에서는 아악·당악·향악의 악기를 다루었다. 악기의 모양과 치수, 악기 재료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권8은 당악과 향악에 쓰이는 의물과 복식 등의 모양·치수·재료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권9는 악사·악공·처용·무동 등의 관복과 무무 공인·여기 등의 복식을 그리고 치수를 기록하였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1989.
렴정권 譯註, 『악학궤범』, 평양 국립출판사, 1956.
이혜구 譯註,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1967.
이혜구 譯註,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집필자

김인숙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