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자료명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저자 정조(正祖) 명편(命編)
자료명(이칭)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 n1-4책) , 兩賢傳心錄 저자(이칭) 정조(조선왕,1752-1800)명편(正祖(朝鮮王,1752-1800)命編) , 正祖(朝鮮王, 1752 - 1800) 命編
청구기호 K3-58 MF번호 MF35-910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儒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856(철종 7년)
· 청구기호 K3-58
· 마이크로필름 MF35-910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정조(正祖) 명편(命編)

형태사항

· 크기(cm) 34.3 X 22.2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8권(卷) 4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7×17.5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74년(영조 50) 세손이었던 정조朱熹宋時烈의 글을 대조하여 두 사람이 같은 心法을 계승하고 있음을 증명하려고 李始源(1753~1809) 등에게 명하여 편찬한 책이다.
서지사항
본 도서는 모두 4책으로 冊次는 元·亨·利·貞으로 표기되어 있다. 서문은 정조가 지은 것을 이시원이 옮겨 썼다. 권말에는 ‘聖上七年丙辰孟夏新刊’이라는 간기가 있어 1856년(철종 7)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 도서의 서문에서 정조주희송시열 두 사람을 聖人으로 인정하며 시공을 초월하고 동서고금을 두루 통하여 하나의 우주로 화합하였다고 했다. 이 책의 체제는 다음과 같다. 1~2책은 『주자대전』에서 발췌한 것이다. 1책은 권1 與魏元履書, 與陳侍郞書, 答張敬夫書, 與留丞相書, 與趙尙書書, 答張敬夫書, 論淵源錄書, 與劉子澄書, 答陸子美書, 答陳同甫書, 答尤延之書, 答范伯崇書, 答林擇之書, 答梁文叔書, 答潘叔昌書, 答胡伯逢書, 答陳器之書, 與劉共甫書, 권2 封事(壬午應詔封事, 戊申封事), 2책은 권3 封事(己酉擬上封事), 奏箚(癸未垂拱奏箚, 垂拱奏箚二, 垂拱奏箚三, 戊申延和奏箚五, 甲寅行宮便殿奏箚一, 行宮便殿奏箚二, 經筵留身面陳四事箚子), 권4 議狀(山陵議狀), 說(舜典象刑說), 序(戊申讜議序, 王梅溪文集序, 丞相李公奏議後序), 賦(感春賦), 詩(齋居感興二十首, 孝宗皇帝挽歌詞, 水口行舟, 曾點, 克己, 觀書有感二首, 春日, 春日偶成, 答袁機仲論啓蒙) 등이다. 3책은 권5 上安隱峯書, 答兪武仲書, 與朴和叔書, 答朴和叔書, 與權致道別紙, 권6 封事(己丑封事, 丁酉封事), 4책은 권7 疏箚(請以孝宗大王廟爲世室疏, 請追上徽號於太廟疏, 擬疏論大義仍陳尹拯事疏, 己巳六月遺疏, 辭貂裘箚, 進修堂奏箚), 권8 誌文(寧陵誌文), 碑(詔贈遼東伯金將軍廟碑), 序(送咸興二朱君序), 跋(孝廟御筆帖後跋, 書文谷所記崇禎皇帝御筆跋), 銘(冽泉銘), 傳(三學士傳), 賦(次感春賦), 詩(次洪元九寄疇孫二十韻, 次後雲翁煥章菴歌, 五月四日, 次韻謝金能之壽能見贈七首, 煥章菴, 淸陰先生挽, 次文谷夢拜孝廟韻, 夜坐淸心樓瞻望寧陵感賦, 次樹谷趙嶷望韻, 孝宗大王挽章) 등이다.
특성 및 가치
정조는 『宋子大全』을 간행하고 송시열을 ‘宋子’로 칭하는 등 송시열의 학문을 매우 존숭하였다. 이 책의 서문과 본문을 통해서도 이런 사실을 확인할 수 있기에 정조의 주자학적 經學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해석사, 2000.

집필자

전재동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