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

자료명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 저자 이석형(李石亨)
자료명(이칭) 대학연의집략(達道大全綱領 n1-7책) , 大學衍義輯略 저자(이칭) 이석형(조선)등편(李石亨(朝鮮)等編) , 李石亨(朝鮮) 等編
청구기호 K3-21 MF번호 MF35-13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儒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634(인조 12년)
· 청구기호 K3-21
· 마이크로필름 MF35-138
· 기록시기 1634年(仁祖 12)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석형(李石亨) 등(等)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3 X 21.7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1권(卷) 7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5×16.8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樗軒 李石亨(1415~1477) 등이 송나라 眞德秀의 『大學衍義』와 『高麗史』에서 정치에 모범이 되고 경계해야 할 만한 내용의 글을 뽑아 엮은 책이다.
서지사항
모두 7책으로 앞표지 이면에는 각 책의 張數를 첨지에 기록하였다. 卷首에는 이석형이 지은 大學衍義輯略序, 1472년(성종 3)이석형이 올린 箋文, 大學衍義輯略凡例, 大學衍義輯略目錄이 있다. 版心題는 ‘輯略’이다. 7책의 卷末에는 1634년(仁祖 12)李廷龜가 올린 進大學衍義輯略箚와 이에 대해 인조가 답한 글이 있다.
체제 및 내용
권1에는 帝王爲學之本, 권2~12에는 格物致知之要, 권13~14에는 誠意正心之要, 권15에는 誠意正心之要와 修身之要, 권16~21에는 齊家之要를 논한 글이 실려 있다.
帝王爲學之本에서는 제왕의 학문은 무엇이며 근본은 무엇인지를 논하였다. 格物致知之要에서는 천리와 인륜을 바르게 하고, 이단과 사설을 물리치게 하고, 인재를 등용하게 할 것 등을 논하였다. 誠意正心之要에서는 敬畏로 事天할 것, 재앙을 만났거나 백성을 대할 때 敬天할 것, 逸慾·沈湎·荒淫·盤游·奢侈를 경계할 것 등을 논하였다. 修身之要에서는 言行을 신중히 하고 威儀를 바르게 할 것을 논하였다. 齊家之要에서는 처첩을 분별할 것, 內治를 엄중하게 할 것, 세자 교육에 힘쓸 것, 적서를 분별할 것 등을 논하였다.
이석형은 전형적인 관학파 유학자로 『治平要覽』 등의 역사서를 편찬하는 데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당시의 학술계에는 성리학의 經史體用論이라는 사상적 흐름이 있었는데, 이를 고려하면 이 책은 『치평요람』이 진화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성리학의 토대에서 제왕학과 역사학을 통합하여 이를 조선의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당시의 經世書가 주로 관찬인데 본 도서는 사찬서라는 점도 의미 있다.

참고문헌

樗軒 李石亨의 생애와 경세사상」, 이석규, 『사학연구』 100, 한국사학회, 2010KCI
정재훈, 『조선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 태학사, 2005.

집필자

전성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