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과송(課誦)

자료명 과송(課誦)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課誦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3-14 MF번호 MF35-2171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儒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청구기호 K3-14
· 마이크로필름 MF35-217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3.0 X 22.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6.4×18.0cm
· 인장 奉謨堂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수양에 도움이 되는 銘과 箴 등을 선별하여 묶은 책이다.
서지사항
황색 표지에 서명이 묵서되어 있다.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에 7행의 계선이 있는 인찰공책지에 필사되어 있다. 본문에 구결이 부기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인격 수양에 필요한 일종의 잠언집으로 퇴계 이황이 엮은 『古鏡重磨方』에서 초록하였다. 成湯의 「盤銘」, 「杖銘」, 蘭溪 范浚의 「心箴」, 晦菴 朱熹의 「遊藝齋銘」, 「書字銘」, 「窓銘」, 「敬齋箴」, 「六先生畵像贊」, 「書畵象自警」, 南軒 張栻의 「主一箴」, 草廬 吳澄의 「和銘」, 「夙興夜寐箴」, 『禮記』의 「九容」·九思와 張橫渠의 「六有」로 구성되어 있다. 口訣을 달아 놓아 誦讀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의 銘이 篇首에 있으나, 송대 성리학자의 箴이나 銘이 많다. 내용도 心性修養에 관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리학의 심성 수양법의 일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1797년(정조 21) 정조의 명에 의해 尹得孚가 選集하고 李晩秀가 글씨를 쓴 『古鏡重磨方』이 있다.

집필자

전성건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