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국조방목(國朝榜目)

자료명 국조방목(國朝榜目)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國朝榜目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3538 MF번호 MF35-726~72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選擧(榜目)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96](정조 20년)
· 청구기호 K2-3538
· 마이크로필름 MF35-726~72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2.0 X 20.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8책(冊)
· 판식 반곽(半郭) 20.8×14.5㎝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392년(태조 1)부터 1796년(정조 20)까지 각종 문과시험별로 문과급제자 명단을 정리해놓은 문과 종합방목이다.
서지사항
표지 서명은 ‘國朝榜目’이다. 각 책마다 서근제가 있는데, ‘一 國朝榜目 太定太世文端世上’, ‘二 國朝榜目 世下睿成燕中上’, ‘三 國朝榜目 中下明宣上’, ‘四 國朝榜目 宣下光仁’, ‘五 國朝榜目 孝顯肅上’, ‘六 國朝榜目 肅景英上’, ‘七 國朝榜目 英中’, ‘八 國朝榜目 英下正上’이다. 표지 장황은 황색 표지에 斜格卍字紋이 있고, 서명은 표지에 직접 墨書하여 線裝하였다. 표지 서명 아래에 冊次가 ‘一·二·三 ……八’로 표기되어 있다. 각 책마다 표지 우측 상단에 目錄이 묵서되어 있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單邊에 上內向三葉花紋魚尾의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고 字數는 10行字數不定이다. 책 수는 不分卷 8冊이다. 書頭에 註가 필사되어 있고, 간혹 주색으로 글자 오른쪽에 방점이나 批點을 표시하였다. 人名 오른쪽에 주색으로 ‘弘’, ‘特弘’을 직접 써놓은 흔적이 있다. 제6·7·8冊 각각 제1면에 있는 頭註 ‘英祖朝’ 아래에 ‘二十五年’, ‘十一年’, ‘四十一年’을 주색으로 夾註하고 있다. 본문의 종이는 일반적인 楮紙를 사용하였다. 제8책 권말에 ‘科年正祖二十(1796) 丙辰 二月十九日’이라는 기록이 있다. 인장은 각 책마다 제1면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을 날인하였다.
체제 및 내용
체제는 목차, 범례, 前朝科擧事蹟 그리고 조선시대 태조~정조 대 시험별 문과급제자 명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는 고려조선으로 구분되어 있다. 고려충렬왕에서 공양왕까지 각 왕의 이름을 기재하고, 그 아래 과거가 시행된 횟수를 기재하였다. 조선 역시 역대 국왕의 묘호를 기재하고, 아래에 해당 왕대에 시행된 문과와 重試 횟수, 해당 왕대의 문과급제 총인원, 생원진사시 장원 총인원, 중시급제 총인원을 기재하였다.
범례는 다 필사하지 못하였다. 완성된 조목은 여섯 개이다. 첫째, 문과급제자의 아버지가 과거에 급제한 경우에는 아버지의 이름에 붉은 점으로 표시하여 구분한다. 둘째, 형제가 과거에 급제한 경우에는 본관에 붉은 점으로 표시하는데, 붉은 점의 많고 적음은 급제 인원에 따른다. 셋째, 아버지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형제와 숙부 그리고 조부가 먼저 과거에 급제했다면 아버지 이름 아래에 적는다. 넷째, 중시급제자는 그 이름 옆에 점을 찍어서 표시하는데, 각종 중시에서 급제한 수에 따라 표시한다. 다섯째, 정승자리에 오른 사람은 이름 위에 점을 찍어 표시한다. 여섯째, 湖堂에 든 사람은 이름 위에 ‘湖’라고 쓰고, 홍문록에 든 사람은 이름 왼쪽에 ‘弘’이라 쓴다고 하였다. 범례의 내용은 두 가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하나는 문과급제자의 친족 가운데 문과와 중시급제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밝혀서 그 집안이 얼마나 현달한 집안인지 알고자 한 것이다. 또한 문과급제자가 청요직을 지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조과거사적에서는 충렬왕 이전의 과거급제자는 급제자 전원을 기재하지 않았다. 그것은 충렬왕 이후 과거급제자 명단만이 전해졌기 때문일 것이다. 고려 광종 9년부터 시행된 과거시험의 시행과 관련된 제도나 변화 등을 기재하고, 확인 가능한 급제자와 과거 급제 인원을 적었다. 고려 후기로 갈수록 과거 시험 관련 정보와 과거 급제자 정보가 상세해진다. 시험 관련 정보는 시관인 지공거와 동지공거를 밝히기도 하고, 급제자 발표일 등을 기재하기도 하였다. 과거급제자의 정보에는 생년, 자, 최고 관직, 부친의 이름과 본관 등을 기재하였다. 그 외에도 부·조부·증조부·외조부 등 4조의 관련과 이름 등을 상세히 기록한 경우도 있다.
고려후기 과거급제자의 방목은 1308년(고려 충렬왕 34) 시험부터 기재되어 있는데, 그 이후 시행된 모든 과거 방목이 실려 있지는 않다. 방목에는 시험정보와 급제자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시험정보는 지공거와 동지공거의 이름, 시험을 치른 동기 등인데,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급제자 정보는 급제자 자신과 급제자 부친 등 가족에 대한 정보로 분류된다. 급제자 자신의 정보는 ① 시험 응시 당시 직역인 전력, ② 이름, ③ 字, ④ 관력, ⑤ 시호 혹은 급제자가 겪은 정치적 사건 등이 기재되어 있다. 급제자 부친에 대한 정보는 급제자 부친 이름 기재되어 있다. 급제자 부친이 관직을 지낸 경우에는 본관 아래쪽에 작게 관직명이 기재되어 있다. 아주 드물지만 거주지를 적은 경우도 있다.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명단은 시험별로 정리되어 있다. 본 방목에는 조선시대 문과시험 하나가 더 실려 있다. 다른 종합방목들은 1393년(태조 2) 시험의 문과급제자 명단부터 실려 있는 데 반해, 본 방목에는 1392년(태조 1) 시험의 문과급제자가 실려 있다. 물론 급제자 명단이 전부 실린 것은 아니다. 장원한 金綣만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방목을 보면 을과 3인, 병과 7인이라 기록되어 있고 칸을 비어둔 것으로 보아 명단을 기록할 생각이었던 것 같다.
본 방목에 실린 조선시대 문과방목의 정보는 고려시대의 그것보다 상세하다. 크게는 시험정보와 급제자 정보로 나눌 수 있다. 시험정보는 ① 과거 명칭, ② 설행동기, ③ 시험관, ④ 시제, ⑤ 방방일, ⑥ 他科 장원 등이다. 시험정보는 모든 시험에 다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 본 방목 편찬자가 확인 가능한 부분만 적어놓았다. 다만 식년문과의 경우 생원 장원과 진사 장원은 문과방 다음에 반드시 기재하였다.
문과급제자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급제자 정보와 가족 정보로 구분되어 있다. 본인 정보는 기본적으로 ① 응시 당시 직역인 前歷, ② 字, ③ 생년, ④ 본관, ⑤ 거주지, ⑥ 관력, ⑦ 개명을 한 경우에는 初名 기재 등이다. 문과급제자가 생원이나 진사인 경우에는 전력 윗부분에 작게 생원진사시를 치른 간지를 적어놓았다. 그뿐만 아니라 유생과시에서 우등하여 문과에 직부한 경력이 있는 급제자의 경우에는 전력 윗부분에 ‘直’이라고 적거나, 유생과시 명칭과 시험과목까지도 상세하게 적어놓았다.
가족 정보는 ① 부친의 직역과 이름, ② 조부의 이름, ③ 증조부 이름, ④ 외조부 이름, ⑤ 처부 이름 등이다. 본 방목의 가족 정보는 다른 종합방목과는 달리 부친·조부·증조부·외조부·처부 등의 관력 혹은 외조부·처부의 본관 등을 밝히는 데는 관심이 없다. 범례에서도 이미 밝혔듯이 가족의 문과급제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부친이 문과급제자인 경우 이름에 붉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친족 중에 문과급제자가 있다면 본관 아래에 작은 글씨로 이름과 급제자와의 관계를 표시해두었다.
특성 및 가치
 종합방목은 규장각에 두 종류의 필사본이 전하고 있다. 규장각 두 종류의 필사본 종합방목은 시험정보와 급제자 정보가 서로 같지 않다.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전체 인원도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순위도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또한 시험정보와 급제자 정보를 기술하는 데도 차이가 있어서 상호 보완적이다.
본 방목의 범례는 규장각본과 비교할 때 소략하고, 문과급제자 정보를 기술한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어 규장각의 필사본과는 다르다. 본 국조방목이 완성본은 아니지만, 다른 종합방목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은 내용들이 담겨 있어서 문과급제자 정보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집필자

원창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