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풍산홍씨족보(豊山洪氏族譜)

자료명 풍산홍씨족보(豊山洪氏族譜) 저자 홍상한(洪象漢)
자료명(이칭) 豊山洪氏族譜 저자(이칭) 洪象漢(朝鮮) 編
청구기호 K2-1802 MF번호 MF35-2153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系譜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68(영조 44년)
· 청구기호 K2-1802
· 마이크로필름 MF35-2153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홍상한(洪象漢)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8.0 X 26.0
· 판본 목판(木版)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6권(卷) 6책(冊)
· 판식 반곽(半郭) 27.0×19.6cm
· 인장 藏書閣圖書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68년(영조 44)에 간인한 豊山洪氏의 族譜이다.
서지사항
표지는 흰색으로 卍字紋이다. 제첨은 종이이며, 테두리는 목판으로 인쇄되었고, 서명은 필사하였다. 表紙書名과 版心題는 ‘豊山洪氏族譜’ 이며, 書根題는 없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一·二……五·六’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6책 卷末에 실린, 戊子년(1768)에 지은 重修跋을 통해 본도서가 영조 44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藏書閣圖書印’이 날인되어 있다. 제1책의 앞표지 이면에는 ‘修撰宅’이라는 기록이 있고, 제63면에는 첨지를 부착하여 수정한 곳이 있다. 제6책의 권말에는 ‘豊山洪氏族譜跋’을 필사한 종이가 끼워져 있다. 또한 내용이 부족한 부분에는 본문에 직접 필사하여 보충하였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체제는 豊山洪氏族譜重修序(崇禎紀元周甲後再丁亥……象漢謹序), 豊山洪氏族譜舊序(崇禎紀元後八十二年……萬宗敬書), 己丑凡例(8條), 重修凡例(12條), 各卷所塡千字文目錄, 系譜(1~6卷), 豊山洪氏族 譜舊跋(崇禎紀元周甲後己丑……萬朝謹跋), 豊山洪氏族譜重修跋(崇禎紀元 後三回戊子……樂仁謹跋), 豊山洪氏族譜跋(後孫承復謹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의 형식을 살펴보면, 횡렬 6단에 종으로 계보를 수록하였다. 書眉에는 各卷所塡 천자문을 기록하였다. 판심에는 판심제와 卷次, 張次를 기록하였다.
계보의 수록 방식을 살펴보면, 자녀를 從年次法, 즉 출생순으로 수록하였다. 前後室이 있을 경우에는 전실·후실 아래에 소생 자녀 수를 기록하여 所出을 분명히 하였다. 庶子女는 嫡子女 다음에 출생순으로 수록하되 이름 위에 ‘서자’·‘서녀’라 기록하였고, 서자의 배위는 ‘室’이라 하지 않고 ‘娶’라 하였다. 외손은 1대에 한하여 수록하였다. 구보의 내용을 更定한 경우는 그 구체적 사실을 전기 사항에 명기하였다. 본보의 계보 수록 방식이 보인 특징은 18세기 족보임에도 적자녀는 물론 서자녀까지 출생순으로 기록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서자의 배위를 ‘室’이라 하지 않고, ‘娶’라 구분한 것도 드문 경우이다.
전기 사항은 名, 字, 號, 生年, 卒年, 科次, 行職, 贈爵, 贈諡, 內職, 外職, 墓所 등을 기록하였다. 배위의 전기 사항의 경우 배위가 봉작이 있으면 ‘室某夫人’이라 기록하고, 봉작이 없으면 ‘室’이라고만 기록하였다. 女壻는 이름 아래에 관직, 姓貫, 父의 관직 등을 기록하였다. 전기 사항을 기록할 때 관작을 내직과 외직으로 구분하여 수록한 것도 드문 경우라 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18세기에 간인된 족보임에도 적자녀는 물론 서자녀도 출생순으로 기록한 것이 특징이다.

집필자

성봉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