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돈녕보첩(敦寧譜牒)

자료명 돈녕보첩(敦寧譜牒) 저자 돈녕부(敦寧府) 편(編)
자료명(이칭) 敦寧譜牒 저자(이칭) [敦寧府(朝鮮) 編]
청구기호 K2-1540 MF번호 MF35-2124~212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敦寧譜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이미지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44](영조 20년)
· 청구기호 K2-1540
· 마이크로필름 MF35-2124~212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돈녕부(敦寧府)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6.6 X 34.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6책(冊)(전(全) 7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7×28.4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44년(영조 20)敦寧府에서 필사한 왕실 보첩 대왕편의 일부이다.
서지사항
앞표지 書腦 하단의 總冊數는 ‘共七’이나 6책만 있다. 제7책은 장서각 소장 K2-1594로 추정된다. 각 책의 본문은 13행으로 된 朱紅印札空冊紙에 필사되어 있고, 본문 첫 면의 우측 하단에 ‘敦寧府譜冊’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板上口에는 해당 시기의 王名이 표기되어 있다. 제1책, 제2책, 제5책은 표지 문양이 斜格卍字紋이고, ‘大王’, ‘甲子式年’이라고 필사된 첨지가 붙어 있으며 표지와 본문 사이에 空隔紙가 한 장 있다. 제3책, 제4책, 제6책의 표지 문양은 蓮寶相華紋이며 첨지나 공격지가 없다. 첨지와 書根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필사 시기는 1744년이다.
체제 및 내용
총 7책 가운데 K2-1540은 제1~6책이다. 太祖康獻大王부터 元宗恭良大王까지 12대 왕의 후손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지에는 定宗, 太宗, 世宗, 文宗, 世祖, 德宗, 成宗, 中宗, 仁宗, 明宗, 宣祖, 元宗이라는 묘호가 적혀 있다.
본문의 구성을 각 면마다 가로로 10개의 선을 긋고 極行에 왕의 휘호를 세로로 적었으며, 왕의 후손 대수가 내려갈 때마다 한 칸씩 내려서 세로로 기재하였다. 王親의 기재 내용은 성별(男·女, 妾男·妾女), 성명, 수직 등 의 순서로 되어 있다.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上篇 乾은 태조정종의 자손록, 上篇 坤은 태종의 자손록, 中篇 乾은 세종문종의 자손록, 中篇 坤은 단종·세조·덕종·예종·성종의 자손록, 下篇 乾은 중종·인종·명종의 자손록, 下篇 坤 上은 선조의 자손록이다.
본문에 定宗이 ‘定宗恭靖大王’으로, 端宗이 ‘端宗敦孝大王’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숙종조에 정종단종에게 묘호가 가상된 후에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선조의 딸인 貞愼翁主의 駙馬 徐景霌(達城尉)의 후손인 진사 李命集(1724년 입격), 진사 吳彦佐(1735년 입격) 등이 수록된 것에 비추어 볼 때, 필사 시기는 1744년으로 추정된다.
특성 및 가치
3년 전인 1741년(영조 17)에 작성된 돈녕보첩 대왕편과 비교해 볼 때, 세종 10남 李璖(潭陽君)-李潚 계통을 비롯해 원종 3남 李佺(綾昌大君)-李溶 계통까지의 추가된 인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仁祖·孝宗·英祖의 자손록은 K2-1652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장서각 소장 K2-1650은 같은해에 작성된 돈녕보첩 왕후편이다.

집필자

임선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