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열성팔고조도(列聖八高祖圖)

자료명 열성팔고조도(列聖八高祖圖) 저자 종부시(宗簿寺) 편(編)
자료명(이칭) 列聖八高祖圖 저자(이칭) 宗簿寺(朝鮮) 編
청구기호 K2-1066 MF번호 MF35-2909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璿源譜/系譜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26(영조 2년)
· 청구기호 K2-1066
· 마이크로필름 MF35-2909
· 기록시기 1726~1740年(英祖 2~1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종부시(宗簿寺)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7.9 X 33.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호접장(蝴蝶裝)
· 수량 1첩(帖)
· 판식 전각(全郭) 40.0×27.3cm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영조와 선왕 20명에 대한 팔고조도 24종을 필사본으로 작성하여 장첩한 것이다.
서지사항
권말 영조의 ‘主上殿下 八高祖圖’ 내용 중 慈聖惠順慈敬獻烈大王大妃가 생존해 있고 ‘誕生母 淑嬪 崔氏’라고 기록되어 있어 본 도서의 최종 작성 시기는 존호를 올리기 전인 1753년(영조 29) 이전으로 추정된다. 蝴蝶裝 형태에 주황색 모란당초문 비단으로 書背를 감쌌으며 아청색 모란당초문 비단을 冊衣로 사용하였다. 주색 비단으로 테두리를 두른 有紋 흰 비단 제첨에 표지 서명을 필사하였다. 본문은 별도로 필사한 주홍 인찰공책지 1張에 圖를 작성한 후 본 도서의 각 1面에 부착하였으며 주황색 비단 피휘지가 부착되어 있다. K2-1065, K2-1067과 장황이 모두 동일하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종부시에서 영조와 선왕 20명에 대한 팔고조도 24종을 필사본으로 작성하여 장첩한 것이다. 본서는 태조대왕에서 영조까지 21명의 팔고조도지만, 선조·경종·영조의 팔고조도는 2종으로 작성하여 모두 24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서는 숙종의 비이자 영조의 모후 仁元王后의 존호가 ‘慈聖惠順慈敬獻列大王大妃’로 수록되어 있어 작성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인원왕후의 존호 ‘惠順’은 1713년(숙종 39), ‘慈聖’은 1722년(경종 2), ‘獻列’은 1726년(영조 2)에 가상되었다. 이후 1740년(영조 16)에 ‘光宣’이란 존호가 가상되었다. 따라서 본서에 인원왕후의 존호에 ‘獻列’까지만 있고 ‘光宣’이란 존호가 없는 것으로 보아 본서는 1726~1740년에 작성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대개 왕의 팔고조도는 1종씩 작성되나, 본서의 선조·경종·영조는 2종씩 작성되었다. 선조명종을 선왕으로 仁順王后 沈氏을 모후로 하는 팔고조도와 생부 德興大院君과 탄생모 河東府 大夫人 鄭氏를 부모로 하는 사친 팔고조도가 작성되었다. 경종仁顯王后 閔氏를 모후로 하는 팔고조도와 탄생모 玉山府 大嬪 張氏을 모친으로 하는 팔고조도가 작성되었다. 영조慈聖惠順慈敬獻列大王大妃를 母后로 하는 팔고조도와 탄생모 淑嬪 崔氏를 모친으로 하는 팔고조도가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열성팔고조도를 작성하여 왕실의 계통과 혈통을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하였다.
본서에는 원종의 팔고조도가 선조와 탄생모 仁嬪 金氏를 모후로 하는 팔고조도만 작성되었다. 그러나 영조 이후에 작성되는 원종의 열성팔고조도에는 선조懿仁王后 朴氏를 부모로 하는 팔고조도가 하나 더 작성되어 수록되었다.
영조의 팔고조도의 경우, K2-1065본에는 영조의 사친을 ‘和敬徽德安純綏福 淑嬪 崔氏’라는 묘호로 기록한 반면에, 본서에서는 ‘誕生母 叔嬪 崔氏’라 하였다. 이는 본서가 K2-1065보다 먼저 간행되어 영조 대에 숙빈 최씨의 추숭에 따른 묘호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집필자

성봉현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