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논어집주대전 |
---|---|
· 자료명(한자) | 論語集註大全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1-160 |
· 마이크로필름 | MF35-4710~11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호광(胡廣)(명(明)) 등(等) 봉칙찬수(奉勅纂修) | 호광 | 胡廣 |
형태사항
· 크기(cm) | 35.0 X 23.4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20권(卷) 7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1.4×16.7cm |
· 인장 |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명의 胡廣(1370~1418)이 영락제의 명을 받아 편찬한 『論語集註大全』을 조선에서 간행한 것이다.체제 및 내용
명나라 成祖 永樂帝(1360~1424)가 주자의 경서 해석을 기본으로 송대 이후 유학자들의 연구를 종합하기 위해 호광 등 42인에게 『五經大典』, 『四書大典』, 『性理大典』을 편찬하게 하였다. 『사서대전』과 『오경대전』은 명나라에서 간행된 직후인 조선 태종
때 바로 수입되어, 세종
대 이래 여러 차례 국가 주도로 간행되었다.조선후기 국가에서 간행한 『논어집주대전』은 일반적으로 『논어』 각 편을 한권으로 편집한 20권 7책으로 구성되었다. 제1책은 論語集註序說, 권1 學而~권2 爲政, 2책은 권3 八佾~권5 公冶長, 3책은 권6 雍也~권7 述而, 4책은 권8 泰伯~권10 鄕黨, 5책은 권11 先進 ~권13 子路, 6책은 권14 憲問~권16 季氏, 7책은 권17 陽貨~권20 堯曰편으로 각각 구성되었다.
집필자
박찬흥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