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어졔경셰문답쇽녹(御製警世問答續錄)

자료명 어졔경셰문답쇽녹(御製警世問答續錄) 저자 영조(英祖) 찬(撰)
자료명(이칭) 어제경세문답속록(御製警世問答續錄) , 어졔경셰문담쇽녹(御製警世問答續錄) 저자(이칭) 영조편(英祖編) , 英祖(朝鮮王, 1694-1776) 編
청구기호 K3-63 MF번호 MF16-31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儒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763
· 청구기호 K3-63
· 마이크로필름 MF16-31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영조(英祖)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28.5 X 18.5
· 판본 원본(原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0×14.3cm
· 인장 謹⊙閤, 日三省吾身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762년(영조 38) 영조(1694~1776)가 『대학』과 『중용』 가운데 절실한 대목을 발췌하여 세상을 깨우치고 교화하기 위해 문답식으로 편찬한 책인 『御製警世問答』의 속편을 언해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는 비단을 사용하였다. 題籤을 붙이고 그 테두리를 붉은색으로 둘렀으며, ‘御製警世問答續錄’이라고 기재하였다. 卷首題는 ‘어졔경셰문답쇽녹’이다. 붉은 광곽선에 붉은색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를 사용하였다. 광곽, 어미, 본문의 내용 모두를 필사한 필사본이다. 도침을 많이 한 종이를 사용하였다.
체제 및 내용
서문은 없고 본문이 ‘묻자와 오대’로 시작하는 48개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다. 自省翁이라 영조 자신을 가탁하고 있다. 『대학』과 『중용』에서 터득할 수 있는 점, 스스로 勉勵하기 어려운 이유, 聖人과 衆人의 차이, 食色性 문제, 절약, 『漢書』 范雎傳, 漢 高祖武帝의 치적, 巢父許由의 출처관, 自省編의 편찬 이유, 유교의 오륜, 내리사랑과 치사랑의 차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다만 『중용』과 『대학』을 토대로 修身·齊家·治國의 道를 기술하고, 유가의 여러 경서를 인용하여 영조의 생활관이나 우주관, 통치관을 설명하였다. 마지막 문답에서 은나라의 역사를 거울삼아야 하듯 『東國通鑑』이나 『麗史提綱』 등 우리나라 역사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 점이 이채롭다.
앞부분과 뒷부분이 일부 떨어져 나간 결락본으로 추정된다. 한문으로 기록된 『御製警世問答續』, 『御製警世編』 등과 내용·편찬 의식에서 일맥상통한다. 언해한 것으로 보아 대중들에게 보급하기 위한 목적도 간과할 수 없다.
국어학 해제
이 책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은 영조 대의 왕실 문헌이 그렇듯 당시의 일반적인 문헌에 비해 언어 변화에 보수적이라는 점이다. 먼저, 구개음화 현상의 예들이 18세기의 여타 문헌에 비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원순모음화 현상도 이 문헌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아, 여느 문헌에 비해 보수적임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평서형 종결어미 ‘창연라(18ㄴ)’와 같이 ‘-으라’가 나타난다. ‘-으라’는 이전 시기의 ‘-오라’에서 변화된 것으로 다른 문헌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 ‘주심고(44ㄱ)’와 같이 의문형 어미 ‘-고’가 명사형어미 ‘ㅁ’ 뒤에 나타나 형태상 ‘-ㅁ고’가 나타나는 것도 주목할 만한다. 이 밖에 ‘以爲’ 등을 ‘ 디’ 등과 같이 축자역한 것도 중요한 사실로 지적할 수 있다.

집필자

전재동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