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종덕신편언해(죵덕신편언(種德新編諺解))

자료명 종덕신편언해(죵덕신편언(種德新編諺解)) 저자 김육(金堉)
자료명(이칭) 죵덕신편언해 , 종덕신편언해(죵덕신편언해(種德新編諺解) n2) 저자(이칭) 金堉(朝鮮) 編
청구기호 K3-127 MF번호 MF35-104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子部/儒家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자부
· 작성시기 1758(영조 34년)
· 청구기호 K3-127
· 마이크로필름 MF35-104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김육(金堉)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2.7 X 21.3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3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1.6×15.4cm
· 인장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金堉(1580~1658)이 『小學』을 읽고 德을 함양시킬 목적으로 지은 저서 『種德新編』에 諺解를 붙인 책이다.
서지사항
冊次는 乾·坤으로 표기되어 있다. 표지서명은 ‘種德新編諺解’이며, 書根에는 ‘種德新編諺解’라는 書根題와 冊次가 기재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卷首에는 1758년에 어명을 받아 지은 어졔셔, 어졔문졍공김육치졔문, 1644년(인조 22)김육이 지은 서문 죵덕신편본셔가 언해되어 실려 있다. 卷末에는 1644년金尙憲이 지은 졔죵덕신편후가 언해되어 실려 있다.
제1권 卷首題 次行에 소제목인 ‘손슉오’와 撰者인 ‘곡산인 집녹’이 함께 판각되어 있다. 한문 원문은 실려 있지 않으며, 한문본 『종덕신편』과 달리 글마다 인물의 성명을 소제목으로 안배하여 요지 파악에 용이하게 하였다. 『種德新編』과 같이 상, 중, 하로 되어 있다. 순 한글로 되어 있으며, 『소학언해』·『오륜행실도언해』 등 다양한 언해와 함께 백성을 교화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특성 및 가치
당시의 국어학적 특성과 백성 교화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김육의 교화관·윤리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국어학 해제
이 책의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기법상으로 종성의 ‘ㄷ’이 ‘ㅅ’으로 통일되어 나타난다. ‘밧 갈고(상:2ㄱ), 낫이면(상:1ㄴ), 엇고(상:2ㄴ)’ 등에서 이러한 양상을 볼 수 있다. 또, 일부 단어와 부사형 어미 ‘-지’에서 구개음화가 실현되어 나타난다. 특히 부사형 어미 ‘-지’는 ‘먹지(상:1ㄱ), 그러치(상:2ㄱ)’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뉴티(서:1ㄴ), 죽디(상:1ㄱ)’ 등과 같이 ‘-디’로도 혼동되어 나타난다. 또, ‘믈[水]’은 ‘물의’와 같이 원순모음화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오기(상:11ㄴ), 알기(상:11ㄴ)’과 같이 명사화소 ‘-기’의 출현이 이전의 문헌에 비해 두드러진다. 주격조사 ‘가’가 나타나지 않고, 속격조사는 ‘의’로만 나타난다. 또, ‘ㅎ’ 말음 어간이 ‘돌흘(상:5ㄱ)’ 등과 같이 거의 그대로 나타나지만, ‘하을(서:1ㄴ)’처럼 일부 단어에서는 ‘ㅎ’이 탈락된 채로 나타난다.

집필자

서근식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