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대왕대비전가상존호책보친전의(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젼의(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親傳儀))

자료명 대왕대비전가상존호책보친전의(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젼의(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親傳儀))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禮曹(朝鮮) 編]
청구기호 K2-2802 MF번호 MF16-29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政書類/典禮/尊崇·尊號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67(고종 4년)
· 청구기호 K2-2802
· 마이크로필름 MF16-29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3.4 X 18.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첩장(帖裝)
· 수량 1첩(帖)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67년(고종 4) 大王大妃인 翼宗神貞王后 조씨(1808~1890)의 尊號를 加上할 때의 의식 절차를 한글로 기록한 자료이다.
서지사항
서명은 표지 서명을 따랐다. 표지 장황은 따로 하지 않았으며, 본문의 뒷면에 제첨을 붙였다. 제첨은 미색 종이를 사용하여 그 위에 서명을 墨書하였다. 折帖本이다. 본문의 종이는 楮紙를 여러 번 덧대어 두껍다. 본문은 6折로 折마다 朱絲欄에 10行 字數不定으로 기록하였다. 순 한글본이다.
체제 및 내용
신정왕후 조씨순조 때 왕세자빈으로 입궁한 뒤 고종 대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왕실의 어른으로 군림하였기 때문에 그를 높이기 위해 수차례 존호를 올렸다. 그 가운데 이 자료는 1867년 ‘元成’의 존호를 가상받을 때의 의식에 대한 기록이다.
이 자료와 관련된 문헌으로는 장서각 소장의 『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親傳儀』(K2-2800)와 『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젼의』(K2-2801)가 있다. 『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親傳儀』(K2-2800)은 이 자료의 한문본에 해당한다. 『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젼의』(K2-2801)는 1890년(고종 27)에 거행된 尊崇禮의 의식에 대한 기록이다. 『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親傳儀』(K2-2800)와 이 자료는 仁政殿에서 의식을 행하는 반면, 『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젼의』(K2-2801)는 勤政殿에서 의식을 거행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K2-2801은 표제가 ‘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젼의’임에 반해, K2-2802는 표제가 ‘대왕대비뎐가샹존호보친전의’로 되어 있어 ‘젼’이 ‘전’으로 되어 있다. 또 의식 절차를 비교해 보면 K2-2801에는 ‘왕세’가 예를 올리는 내용이 있는 데 비해 K2-2802에는 없다.
특성 및 가치
대왕대비인 익종신정왕후 조씨의 尊號를 加上할 때의 의식 절차가 한글로 기록되어 있어 19세기 말의 궁중 풍속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각 절차가 한글로 기록되어 있어, 19세기 말의 한자음 연구 및 한글 서체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장서각소장등록류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장서각한글자료해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0.
김봉좌, 「조선시대 유교 의례 관련 한글문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1.

집필자

박부자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