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언해(쥬역언)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1801 |
· 청구기호 | K1-209 |
· 마이크로필름 | MF16-1404 |
· 기록시기 | 1801~1834年(純祖年間)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선조(宣祖) 명찬(命撰) |
형태사항
· 크기(cm) | 34.1 X 22.3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정유자(丁酉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9권(卷) 5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5.6×16.6cm |
· 인장 |
史館藏, 茂朱赤裳山史庫所長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宣祖의 명에 따라 「주역」의 본문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서지사항
금속활자 戊申字本으로 전체 5책 중 제5책(권7~9)다. 표지서명은 “周易諺解”다. 내제는 “周易諺解”이며, 서명과 卷次의 각 글자 아래에 언문이 함께 인쇄되었다. 권수면 반곽의 위에 “李王家圖書之章”, 권차 아래에 “史館藏”의 인장이 있다. 판심에는 서명과 권차, 張次가 인쇄되었다. 書根에 서명과 冊次가 보인다.국어학 해제
이 책의 국어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점 표기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또, ㆁ는 한자어나 고유어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지만, ㅿ은 한자어에 (易, 7:1ㄱ), 성(聖人, 7:1ㄱ) 등 풍부하게 나타난다. 또, 다(7:2ㄴ)과 같이 종성 표기에 ㄷ이 쓰이기도 하였다. 이 밖에 주역언해 K1-208과 달리 서가 서르(7:2ㄱ) 등으로 쓰여 비어두에서 ㆍ의 표기에 차이가 있다. 또, 주격조사가 이와 ㅣ 등으로 정연하게 나타난다.참고문헌
「周易諺解의 과정과 특징」, 이충구, 『동양철학연구』 14, 동양철학연구회, 1993.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