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정대학류의(御定大學類義)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어정대학류의 |
---|---|
· 자료명(한자) | 御定大學類義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805(순조 5년) |
· 청구기호 | K1-147 |
· 마이크로필름 | MF35-144~5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表題面: 正廟己未(1799)重校/御定大學類義/當宁乙丑(1805)活印 |
· 내용주기 | 表題面, 正廟御製題大學類義, 凡例, 御定大學類義目錄, 奉敎編次, 奉敎參閱, 奉敎監印, 御定大學類義卷首(大學章句序/朱子 -- 大學衍義序/眞德秀 -- 大學衍義補序/丘濬) -- 以下 大學, 衍義,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정조(正祖) 명편(命編) | 정조 | 正祖 |
형태사항
· 크기(cm) | 34.0 X 21.5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정리자(整理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21권(卷) 10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2.5×15.5cm |
· 인장 |
奎章之寶, 李王家圖書之章, 史館藏,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금속활자 整理字本인데, 서문은 목판으로 인쇄되었다. 편제면에 “御定大學類義 正廟己未(1799)重校 當宁乙丑(1805)活印”이라는 기록이 있다. K1-147은 K1-147-1, K1-147-2 두 본이 있다. K1-147-1의 표지서명은 “御定大學類義”이고 안쪽에는 “赤裳山城”이라는 內賜記가 있어 赤裳山史庫에 내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서문에 “李王家圖書之章”, “奎章之寶”, “史館藏”, “茂朱赤裳山史庫所藏朝鮮總督府寄贈本”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書根에는 “御定大學類義”의 書根題·冊次와 함께 각 책마다 붉은 색으로 “赤”을 기록하여 소장처를 밝히고 있다.K1-147-2는 표지서명이 “大學類義”이고 “嘉慶十年(1805)十一月二十六日內賜同副承旨申絢 御定大學類義一件 命除謝 恩 待敎臣朴(手決)”의 內賜記가 있어 甲本과 달리 승지 申絢에게 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서문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 “奎章之寶”의 인장이 날인되어 있고, 書根에는 “大學類義”의 書根題와 冊次가 기록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정조
는 『대학』을 제왕학과 연계하여 보았다. 세손으로 있을 때부터 본 도서의 저본이 되는 진덕수와 구준의 책을 매우 좋아하여서, 그것을 요약하고 批點을 하였다. 그 뒤에 그것을 토대로 본 도서를 엮도록 명하였다. 정조
가 짓고, 金祖淳
이 쓴 題大學類義를 통해 정조
는 『대학』이 치세의 필독서임을 강조하여 “군주가 이 책을 읽으면 태평의 교화에 기초를 쌓을 수 있고, 신하가 이 책을 읽으면 參贊의 공적을 이룰 수 있다”고 하였다.범례와 목차, 그리고 본 도서의 편찬에 참여한 학자들의 명단이 卷首 앞에 실려 있고, 권수에는 大學章句序·大學衍義序·大學衍義補序가 차례대로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 해당하는 권1부터 21까지에는 『大學』의 해석 범위를 크게 확대하여 사람의 마음가짐에서부터 平天下하는 經世之學에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놓았다. 그리고 주희의 『대학장구』와 그 주석이 전부 실려 있고, 『대학연의』와 『대학연의보』에서는 필요한 부분만을 가려 뽑아서 정리하였다. 여기 인용된 전적은 經·史·子·集에 걸쳐 방대하고, 시대로는 삼황오제로부터 송명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망라되어, 사람의 마음가짐으로부터 천하를 경영하는 경세의 학문에 이르기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다. 한편, 정조 는 본 도서를 徐瀅修 와 尹光顔 에게 재교하도록 명한 뒤, 후에 『類義評例』 2권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집필자
박학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