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례의절(緬禮儀節)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1-111 |
· 마이크로필름 | MF35-830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表題: 緬禮儀 |
· 내용주기 | 緬禮儀節, 諸家改葬詳說博考, 諸家禮說改葬類抄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편자미상(編者未詳) |
형태사항
· 크기(cm) | 27.0 X 19.5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改葬에 관한 儀節과 도구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여러 예학자들의 설을 인용하여 필사한 책이다.체제 및 내용
緬禮儀節, 諸家改葬詳說博考, 諸家禮說改葬條類抄로 구성되어 있다. 緬禮儀節은 원문과 註, 세주로 구분하여 서술했다. 면례는 곧 무덤을 옮겨 다시 장사지내는 예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 의절에는 擇地와 治棺부터 시작해서 虞祭까지 改葬에 관한 모든 절차를 수록하였다.諸家改葬詳說博考는 개장 절차에 따라 몇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 항목의 처음에는 도구를 열거하고, 행례 절차와 그에 관해 明齋 尹拯, 同春堂 宋浚吉 등 여러 예학자의 설들을 인용했다. 각 항목을 살펴보면, 啓墓出柩, 改斂易棺, 設靈座成殯, 發靷行喪, 下棺成墳의 순이다.
諸家禮說改葬條類抄는 여러 예학자의 예설 가운데 개장에 관한 조목만을 초출하여 몇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서 정리해 놓은 것이다. 각 항목은 治葬具·制服·祠后土·作灰隔·啓墓出柩·設靈座·發引·合窆·前後妣合葬·贈玄纁·除服前雜儀의 순이다.
특성 및 가치
改葬의 풍습에 부응하여 그 儀節과 여러 예학자들의 설을 종합하여 정리한 책으로서, 당시 사회상의 일면과 개장 방법 등에 관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이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