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례증해(家禮增解)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1824(순조 24년) |
· 청구기호 | K1-105 |
· 마이크로필름 | MF35-1166~7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總冊: 共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이의조(李宜朝) 편(編) |
형태사항
· 크기(cm) | 31.3 X 21.3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4권(卷) 10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3.5×17.2cm |
· 인장 |
張氏山房之章,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鏡湖 李宜朝(1727~1805)가 부친 李胤績의 초고본을 바탕으로 경전과 고금의 선유의 설을 인용하여 가례 본문의 뜻을 해설해서 1824년(순조 24)에 간행한 가례서이다.서지사항
능화문이 있지만 표지는 거의 흰색에 가깝다. 卷首에 家禮增解引用禮書目錄이 있는데, 인용서명과 편명 및 상세내용이 들어가 있다. 마지막에 발문에 이어 간기가 판각되어 있다. 書根에는 서명과 冊次가 기록되어 있다.같은 내용의 서적으로 장서각 소장본 『가례증해』 K1-104가 있는데, 판본은 다르다.
체제 및 내용
체제는 引用禮書目錄, 變禮目錄, 序, 小叙, 凡例, 家禮序, 본문, 跋로 구성되어 있다. 서는 宋煥箕가 썼다. 이윤적이 고금의 禮를 수집하여 펴낸 초본을 아들인 이의조가 10여 년 동안 수정하여 편찬하였다. 小序는 이의조가 썼다. 그는 본관이 연안, 자가 孟宗이다.인용한 예서목록에는 중국서 29종, 조선의 先儒書 49종이 열거되어 있다.
범례는 14개조이다. 발문은 鄭晩錫의 글이다. 그 뒤에는 판본이 경상도 지례에 소장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다. 가례서는 주자가 쓴 가례의 서문이다.
본문은 변례목록이라 한 바와 같이, 변례를 모아서 증보하고 고례를 인용하여 풀이했다. 권1과 권2는 통례이며, 권3은 관례, 권4는 혼례이다. 권5부터 권12까지가 상례이며, 吉祭와 改葬이 補錄되었다. 권13과 권14는 제례이다. 항목의 처음에는 총론을 실어 이해를 돕기도 했으며, 도설은 각 장마다 아래에 정리해 놓았다.
특성 및 가치
『주자가례』에 실려 있지 않은 변례를 채록하여 증보하고 『주자가례』의 내용을 고례에 근거하여 보완하고자 편찬한 가례서이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