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경례문답(尤菴經禮問答)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1-82 |
· 마이크로필름 | MF35-1498~9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板心題: 尤菴先生集 |
· 내용주기 | 卷172. 禮疑(家禮圖) -- 卷173-174. 禮疑(通禮) -- 卷175-180. 禮疑(喪禮) -- 卷181. 禮疑(祭禮) -- 卷182. 禮疑(國恤)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송시열(宋時烈) 찬(撰) |
형태사항
· 크기(cm) | 28.1 X 18.7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1권(卷) 5책(冊) |
· 인장 |
昌原, 黃仁燧印,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尤庵 宋時烈(1607~1689)이 제자들과 經禮에 대하여 문답한 편지글을 『가례』의 순서에 따라 모아놓은 책이다.서지사항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의 10行 印札空冊紙를 사용하여 『尤菴先生文集』 중 제172권~182권까지 禮說에 관한 부분만 별도로 필사해놓은 책이다. 表紙에 篇目이 기재되어 있다. 표지서명은 ‘尤菴經禮問答’이며 版心題(필사)는 ‘尤菴先生集’, 권수제는 ‘尤菴先生文集’이다.체제 및 내용
『경례문답』은 『우암선생문집』 속집에 있는 것으로 1730년(영조 6)에 간행되었으나, 이 책의 필사 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 체제는 『가례』의 순서에 따라 목차가 설정되고 그 아래에 소항목을 두어 관련 문답이 배치되었다. 문답은 두 자 낮춰 답 아무개라 하고는 한 자 낮춰 질문 요지를 쓰고 답변 글을 수록했다. 질문자는 柳億, 閔士昻, 韓如琦, 朴是曾, 兪命齎, 金壽增, 尹拯, 沈明仲, 郭始徵, 李君晦, 朴和叔, 孫晦錫, 孫淳錫, 宋子華, 李聖彌, 韓伯圭, 尹爾和 등 많은 문인들이 주류이며, 그 외에 崇賢書院에 답한 사례도 있다. 숭현서원은 회덕에 설립된 祠宇의 후신이다. 或人에 답한 사례도 많다.본문은 『우암선생문집』 권172부터 권182에 해당한다. 권172는 가례도·서·통례·권174는 통례·거가잡의·관례·혼례·권175는 상례·권180은 상례·거상잡의·권181은 제례, 권182는 국휼·왕조례·학궁례·향음례·延諡·의복제·野服圖 등이다.
특성 및 가치
의례의 의문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이 여러 예학자에 의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책은 예학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적극 검토해야 할 자료이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