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유형분류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

자료명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 저자 주희(송)(朱熹(宋)) 찬(撰)
자료명(이칭) 易學啓蒙要解 저자(이칭) 朱熹(宋) 撰 ;
청구기호 K1-18 MF번호 MF35-1214~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經部/易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경부
· 작성시기 1466(세조 2년)
· 청구기호 K1-18
· 마이크로필름 MF35-1214~5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주희(朱熹)(송(宋)) 찬(撰)

형태사항

· 크기(cm) 33.8 X 21.0
· 판본 목판본(木板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4권(卷) 2책(冊)
· 판식 반곽(半郭) 22.7×16.5cm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465년(세조 11) 세조의 명으로 崔恒(1409~1474)과 韓繼禧(1423~1482)가 朱熹가 撰한 『易學啓蒙』을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쉽게 보충 설명한 책이다.
서지사항
板心에는 ‘啓蒙要解’라는 板心題와 卷次가 기재되어 있다. 黑魚眉와 內向一葉花紋魚尾가 혼재되어 있다. 글자 등 마모가 심한 것으로 보아 後刷本으로 추측된다. 손상된 그림을 靑色 펜으로 보완하였다. 揷圖가 다수 있다.
체제 및 내용
이 책은 일종의 易學 입문서이자, 『역학계몽』의 해설서이다.
현재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임진왜란 이후의 중간본이 다수 전한다. 본서도 그 가운데 하나의 판본으로 추정된다. 『역학계몽』은 주희蔡元定이 당시 학자들이 象數와 義理의 일면에 치우쳐 견강부회하거나 산만하여 지리멸렬한 견해에 빠지고 마는 폐단에 대하여 易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위해 저술한 것이다. 序文과 함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첫 번째인 本圖書는 河圖와 洛書의 의미를 제시하고 있으며, 둘째인 原卦畵는 易의 여러그림들의 근원에 대해 밝히고 있다. 셋째인 明蓍策은 시초를 이용한 점법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마지막인 考變占은 점을 쳐서 變爻를 얻었을 때 점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다. 본서도 『역학계몽』의 주희 서문과 함께 4편이 온전히 수록되어 있으며, 玉齋胡氏通釋附圖, 伏羲則河圖以作易圖, 大禹則洛書以作範圖 등의 그림 10개가 부기되어 있다.
최항의 발문에는 “주역을 배우는데 있어 『역학계몽』은 학자의 지침이 되나 語義가 精深하여 처음 배우는 사람은 뜻을 알 수가 없다고 왕께서 분부하시어 우리들이 校正하고 혹 미진한 것 같으면 또한 補解하였다”고 저작 경위를 밝히고 있다. 본서의 교정과 보해에 참여한 학자는 최항, 한계희를 비롯하여 金國光, 盧思愼, 丘從直, 鄭自英, 鄭蘭宗, 兪希益, 魚世恭, 崔自濱, 兪鎭 등이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상수역학의 발전과 변동-『역학계몽』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박권수, 『한국사상사학』22, 한국사상사학회, 2004.KCI

집필자

박학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