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비요(초)(喪禮備要(抄))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사년미상(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1-118 |
· 마이크로필름 | MF35-1646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紙質: 楮紙(背接)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신의경(申義慶) 편(編) |
형태사항
· 크기(cm) | 30.3 X 30.5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함양에 사는 韓錫奎가 조선 중기의 학자 申義慶(1557~1648)이 찬하고 김장생이 보완한 『喪禮備要』 중에서 필요한 일부 내용을 초록하고, 집안의 여러 사실들을 두서없이 기술한 책이다.체제 및 내용
표제는 『喪禮備要』로 되어 있으나, 저자 한석규가 일정한 체제 없이 이 책에서 필요한 내용을 추출하여 초록하고 집안의 여러 사실들을 기록해둔 필사본이다. 첫머리에는 김장생의 喪禮備要序와 주희의 『주자가례』 서문이 필사되어 있다. 이어서 五服圖의 일부를 그리고, 혼례의 절차를 약술했다.그 다음에는 ‘喪禮備要 下’라는 항목이 실려 있다. 開瑩域祠土地具를 시작으로 초우까지 절차와 축식 등을 기술하고, 이어서 각종의 축식과 고유문, 弔狀式의 일부를 필사했다. 묘제의 절차, 신주를 부모로 나누어 쓰는 법식, 그리고 관례와 혼례 때 이를 사당에 고유하는 서식, 며느리가 사당에 알현하는 예, 아들을 낳았을 때 사당에 고유하는 예, 奔喪具, 服制와 최복의 도설, 대렴과 치장에 관한 사항을 약술했다.
다음에는 原情이 삽입되고, 이후부터 다시 大斂具와 朝夕哭奠上食 등 상례에 관한 사항 일부가 수록되고, 국휼 중 私喪의 變制 절차가 기술되어 있다. 이외에 자신의 증조 이하의 忌日과 偸葬으로 벌어진 山訟에 관한 所志, 「男子生氣」를 기록해 놓았다.
특성 및 가치
개인이 필요에 의해 상례에 관한 일부 법식을 『상례비요』에서 초출하고 집안의 여러 사실들을 기술한 자료로서, 내용의 질과 가치가 크게 떨어진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