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비요(喪禮備要)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1648(인조 26년) |
· 청구기호 | K1-116 |
· 마이크로필름 | MF35-1319 |
· 기록시기 | 1648年(仁祖 26) 後刷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冊次: 全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신의경(申義慶) 편(編) |
형태사항
· 크기(cm) | 34.1 X 23.8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4.3×18.1cm |
· 인장 |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申義慶(1557~1648)이 『주자가례』의 상례를 위주로 시속에 맞게 보충한 원본을 김장생과 김집이 차례로 보완하여 1648년(인조 26)에 편찬한 禮書이다.체제 및 내용
이 책은 序文, 凡例, 圖說, 본문, 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김장생이 1620년(광해군 12)에 『喪禮備要』를 증보하면서 지은 것이며, 그의 아들 김집이 1648년 이 책을 간행할 때 자신의 서문을 부가했다. 각 서문의 내용은 申義慶이 『주자가례』의 내용 중 시속에 부합하지 않는 사항들을 첨보한 원본을 자신들이 다시 교정했다는 것이다. 발문은 1621년(광해군 13)에 신흠이 지었다.본문은 범례에서 밝힌 바와 같이, 『주자가례』를 기본으로 기술하면서 일부 내용을 보충하고 개정한 것이다. 상례 절차의 각 의절은 원문을 제시하고 註로 설명을 달았다. 李珥와 李滉·金長生 등과 사마광·주자 등 조선과 중국의 여러 학자들의 禮說을 채록하고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圖說은 『주자가례』에 의거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개정했다. 각 절차마다 喪具를 제시했으며, 담제 이후에는 각 축식과 고유문, 개장의 절차와 제도구, 吊狀式, 각 제사 때의 饌品, 時祭儀 등 제사 절차 등을 차례로 실었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가례의 텍스트인 『주자가례』를 시속에 맞게 개편한 이 책은 당시에 가장 널리 참고한 실용서의 하나로서, 조선후기 상례의 풍습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