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서차기(禮書箚記)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예서차기 |
---|---|
· 자료명(한자) | 禮書箚記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885(고종 22년) |
· 청구기호 | K1-77 |
· 마이크로필름 | MF35-1370~2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總冊: 共十三 |
· 내용주기 | 禮書箚記序, 禮書箚記序, 凡例, 禮書箚記所引書目 -- 卷1. 祠堂條, 立廟條, 入廟條, 班祔條, 別廟條 -- 卷2. 宗法條 -- 卷3. 參謁條, 節祀薦新條, 有事則告條, 祠堂火條, 遞遷條 -- 卷4. 深衣條, 冠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남도진(南道振) 찬(撰) | 남도진 | 南道振 |
형태사항
· 크기(cm) | 31.0 X 20.0 |
---|---|
· 판본 | 목활자본(木活字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목록(目錄) 1권(卷), 본기(本記) 26권(卷), 합(合) 13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1.5×15.5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心齋, 嘉林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弄丸齋
南道振
(1674~1735)이 관혼상제에 대해 經傳과 註疏 및 諸史, 子集 그리고 우리나라 유현의 禮說을 수집하여 엮은 책을 6대손 南廷哲
이 1888년(고종 25)에 간행한 예서이다.서지사항
표지에 편명이 기록되어 있다. 서문 다음으로 범례와 인용서목, 목차가 나타난다. 간혹 두주가 나타난다.체제 및 내용
서문은 두 편으로 1888년(고종 25)에 金洛鉉이 쓴 것과 1719년(숙종 45)에 편자 弄丸齋
南道振
이 약술한 자서이다. 발문은 6대손 南廷哲
이 썼다. 남도진
은 字가 仲玉
, 호가 弄丸齋
, 본관은 宜寧이다. 그는 특히 喪祭禮에 관심이 커 經傳과 註疏 및 諸史, 子集 그리고 우리나라 유현들의 예설을 수집하여 일가를 삼았다고 했다. 이 책은 그의 사후 151년이 지난 1885년(고종 22) 남정철
이 관서절도사로 있을 때 黃岦에게 부탁해 교정하고 3년 뒤에 활자로 인쇄하였다. 인용서목에는 조선과 중국의 전적 약 120여 종을 소개하고 있다.본문은 권1에 家禮圖多誤, 家禮通禮之義, 家禮附註之辨, 祠堂條가 실려 있다. 권2부터 권4의 심의까지는 사당조에 해당하며, 특히 宗法이 한 권을 차지하고 있다. 권4는 관례, 권5와 권6은 昏禮이다. 권7부터 권24 전반까지는 喪禮이며, 권24 후반부터 卷26까지는 祭禮이다. 마지막에는 附錄이 붙어있는데, 書院坐次, 鄕飮酒禮, 鄕飮酒之具, 鄕射禮, 鄕射禮之具 및 祝辭 24개조, 奠賻慰狀條 5개조가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후기 관혼상제와 시속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이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