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예기집설대전 |
---|---|
· 자료명(한자) | 禮記集說大全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1-74 |
· 마이크로필름 | MF35-4702~4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表題: 禮記 |
· 내용주기 | 禮記集說大全總論, 禮記集說序, 禮記集說大全凡例 -- 卷1. 曲禮上 -- 卷2. 曲禮下 -- 卷3. 檀弓上 -- 卷4. 檀弓下 -- 卷5. 王制 -- 卷6. 月令 -- 卷7. 曾子問 -- 卷8. 文王世子 -- 卷9. 禮運 -- 卷10. 禮器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호광(胡廣)(명(明)) 봉칙찬(奉勅撰) | 호광 | 胡廣 |
형태사항
· 크기(cm) | 31.8 X 21.0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30권(卷) 10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3.7×16.4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明 胡廣 등이 1414년(永樂 12) 成祖의 명을 받아 1425년에 완성한 『五經大全』 중의 하나로서, 元 陳澔가 편찬한 『禮記集說』을 근본으로 삼고 42家의 여러 학설과 疏를 모아서 정리한 예서이다.서지사항
표지에 필사된 제첨이 있다. 書眉에 원문 일부(漢字 한 글자)와 한글 현토가 인쇄되어 있다. 각 책 첫 장에 西隱이라 필서되어 있다. 제9책의 첫 장에 인장을 오려낸 흔적이 있다.체제 및 내용
이 책은 禮記集說大典總論, 禮記集說序, 禮記集說大典凡例,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에는 구두점이 표기되어 있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