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예기집설대전 |
---|---|
· 자료명(한자) | 禮記集說大全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777 |
· 청구기호 | K1-71 |
· 마이크로필름 | MF35-4700~2 |
· 기록시기 | 1777-1800年(正祖年間)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表題: 禮記 |
· 내용주기 | 禮記集說序, 禮記集說大全總論 -- 卷1. 曲禮上 -- 卷2. 曲禮下 -- 卷3. 檀弓上 -- 卷4. 檀弓下 -- 卷5. 王制 -- 卷6. 月令 -- 卷7. 曾子問 -- 卷8. 文王世子 -- 卷9. 禮運 -- 卷10. 禮器 -- 卷11. 郊特牲 -- 卷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호광(胡廣)(명(明)) 등(等) 봉칙찬(奉勅撰) | 호광 | 胡廣 |
형태사항
· 크기(cm) | 34.4 X 22.0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무신자(戊申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30권(卷) 15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5.0×16.8cm |
· 인장 |
史館藏, 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明 胡廣 등이 1414년(永樂 12) 成祖의 명을 받아 1425년에 완성한 『五經大全』 중의 하나로서, 元 陳澔가 편찬한 『禮記集說』을 근본으로 삼고 42家의 여러 학설과 疏를 모아서 정리한 예서이다.서지사항
戊申字本이다. 책 표지 우측 상단에 篇目이 필사되어 있다. 표지서명은 禮記, 권수제와 板心題는 ‘禮記集說大全’이다. 卷首 우측 상단에는 ‘王家圖書之章’이, 하단에는 ‘史館藏’과 ‘茂州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이 각각 날인되어 있다. 書根題는 ‘禮記’이다.체제 및 내용
이 책은 禮記集說序, 禮記集說大典總論,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광은 字가 光大, 號가 晃庵으로 吉水(지금의 江西) 사람이다. 이 책은 원나라 至治年間에 東匯澤 陳澔가 『禮記』에 대한 여러 설들을 모아 정리한 『禮記集說』을 근본으로 삼았다.『예기』는 전국시대부터 한나라초기까지의 유가들이 고대부터 그 당시까지의 많은 예제를 모아서 이를 해석하고 편집한 예서이다. 기술 범위는 중국 고대의 典章과 名物, 제도 및 천자 이하 각 계급의 관혼상제, 燕, 享, 朝, 聘 등 예의에 관한 것이다. 『예기집설대전』은 蜀大字本, 宋舊監本 등 여러판본의 경문을 바로잡고, 정현의 注와 공영달의 疏에서 藍田呂氏의 설과 恒軒劉氏의 설에 이르기까지 42가의 예설을 취하여 만들었다.
특성 및 가치
이 책은 鄭玄의 注를 폐지한 점에 대한 비판과 함께 禮制가 소략하고 고증이 치밀하지 못하며 禮意를 밝히는 데에도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지만 조선에서는 『가례』의 올바른 이해와 의문의 해소에 여러 禮經 중 이 책을 가장 많이 참고했다.집필자
임민혁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