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예기대문언독 |
---|---|
· 자료명(한자) | 禮記大文諺讀 |
· 사부분류 | 경부 |
· 작성시기 | 1707(숙종 33년) |
· 청구기호 | K1-69 |
· 마이크로필름 | MF35-1676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表題: 禮解 |
· 내용주기 | 卷1. 曲禮上, 曲禮下, 檀弓上, 檀弓下 -- 卷2. 王制, 月令, 曾子問, 文王世子 -- 卷3. 禮運, 禮器, 郊特牲, 內則, 玉藻, 明堂位 -- 卷4. 喪服小記, 大傳, 少儀, 學記, 樂記, 雜記上, 雜記下 -- 卷5. 喪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성삼문(成三問) 등(等) 봉명현독(奉命懸讀) | 성삼문 | 成三問 |
형태사항
· 크기(cm) | 32.8 X 21.1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6권(卷) 6책(冊)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禮解’ 卷首題는 ‘禮記大文諺讀’이다. 卷首 우측 상단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의 판식으로 된 인찰 공책지를 사용하였다. 板心題는 비어 있다. 서근제는 ‘禮解’이다. 大文에 한글 口訣을 달았다. 3冊에는 한글 口訣 일부를 오려 내고 그 배면에 종이를 덧대어 글자를 수정한 흔적이 있다. 5冊에는 赤色, 靑色으로 批點이 찍혀 있다. 본문 곳곳에 蟲蝕이 있다. K1-68과 내용이 합치된다.체제 및 내용
K1-68 참조.국어학 해제
장서각 K1-68과 큰 차이가 없으나 시기상 후대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책의 국어학적인 가치는 여기에 나타나는 구결이 국어 문법사의 측면에서 다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장서각(K1-68)과 비교했을 때, 共食에(1:11ㄴ) 禮에 曰호(1:15ㄱ) 부분이 共食이 禮예 왈호 등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인다. 나머지 문법적인 사항은 장서각 K1-68과 큰 차이가 없다.참고문헌
『承政院日記』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