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훈몽(四禮訓蒙)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1674(현종 15년) |
· 청구기호 | K1-57 |
· 마이크로필름 | MF35-1392 |
· 기록시기 | 1674年(顯宗 15) 後刷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紙質: 楮紙 |
· 내용주기 | 四禮訓蒙目錄, 冠禮, 昏禮, 喪禮, 祭禮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이항복(李恒福) 찬(撰) |
형태사항
· 크기(cm) | 32.1 X 20.9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1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1.3×17.2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白沙 李恒福(1556~1618)이 관혼상제에 대해 어린 아이들과 선비들을 깨우쳐주기 위해 편집한 예서이다.서지사항
17세기목판을 이용하여 후대에 다시 인쇄한 목판본으로 장서각 소장 『四禮訓蒙』(K1-56)보다는 후기 인본이다. 원래 없던 目錄과 三刊跋을 추가하고, 빠진 목판을 補板하여 인쇄하였다. 표지에 문양이 捺押되지 않았다.체제 및 내용
K1-56 참조.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