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좌전상절구해(春秋左傳詳節句解)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간사년미상(刊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1-134 |
· 마이크로필름 | MF35-1492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表題: 杜春秋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주신(朱申)(송(宋)) 주석(注釋) |
형태사항
· 크기(cm) | 30.2 X 20.8 |
---|---|
· 판본 | 목판본(木板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35권(卷) 10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1.7×17.0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송나라 朱申이 『春秋』에 주석을 붙여 편찬한 책에, 명나라 孫鑛이 批點, 顧梧芳이 較正, 鍾惺이 重訂한 책이다.체제 및 내용
송나라 朱申이 『春秋左傳』에 주석을 붙여 편찬한 책에, 명나라 孫鑛이 批點, 顧梧芳이 較正, 鍾惺(明, 1574~1625)이 重訂했다. 35권 10책이다. 1책에는 1513년(明 武宗 正德 9년[癸酉]) 2월에 震澤 王鏊(1450~1524)가 쓴 春秋左傳詳節句解序, 杜預(晉, 222~284)의 서문에 주석을 붙인 春秋左傳詳節句解序, 春秋左傳詳節句解凡例가 있다. 이어 본문으로 권1 隱公, 권2 桓公, 권3 莊公, 3책 『춘추』 2는 권4 閔公~권6 僖公 下, 4책 『춘추』 3은 권7 文公~ 권9 宣公 下, 5책 『춘추』 4는 권10 成公 上~襄公 1, 6책 『춘추』 5는 양공 2~양공 4, 7책 『춘추』 6은 양공 5~권18 昭公 2, 8책 『춘추』 7은 권19 소공 3~권21 소공 5, 9책 『춘추』 8은 권22 소공 6~권24 定公 上, 10책 『춘추』 9는 권25 정공 하~권27 哀公 下로 구성되었다.왕오는 春秋左傳詳節句解序에서 주신이 본 『春秋左傳詳節句解』 35권을 주석하고, 자신이 서문을 쓰게 된 내력과 『춘추좌전』의 문장이 뛰어남을 말하고 있다. 두예의 서문에 주석을 붙인 春秋左傳詳節句解序는 원 서문에 두 줄로 주석을 붙였고, 다음에 7개 조의 春秋左傳詳節句解凡例가 있다. 春秋左傳詳節句解 본문은 『춘추좌전』 원문에 역시 두 줄로 주석을 붙였다.
『좌전』에 대해서만 해석을 하고, 『춘추』의 경문에 있는 것은 해석하지 않았다. 또 『좌전』 주에 실려 있는 사실의 始末에 별도의 근거가 있는 것은 모두 뒤에 附注를 붙여 놓았고, 『좌전』의 본문을 잘라내기도 하였다.
집필자
박찬흥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