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씨집선(左氏輯選)
· 원문이미지

· PDF서비스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사부분류 | 경부 |
---|---|
· 작성시기 | 1708(숙종 34년) |
· 청구기호 | K1-127 |
· 마이크로필름 | MF35-1646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일반주기 | 板心題: 左選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최석정(崔錫鼎) 편집(編輯) |
형태사항
· 크기(cm) | 30.3 X 18.2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후기운각인서체자(後期芸閣印書體字) 다혼입보자(多混入補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8권(卷) 4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0.9×12.9cm |
· 인장 |
摛文院, 月城, 金履常, 李王家圖書之章 外 1種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崔錫鼎(1646~1715)이 『春秋左氏傳』 가운데 중요한 부분만을 선별하여 정리한 책이다.서지사항
도침한 종이를 사용하여 운각인서체자로 찍은 금속활자본이다. 본문 중에 붉은 색으로 批點을 찍은 흔적이 남아 있다.체제 및 내용
卷首에 자서인 左氏輯選後序와 목록, 名號異稱便覽이 있다. 명호이칭편람에는 주나라를 비롯하여 魯國, 齊國, 晉國 등 14개국의 인물 가운데 다른 이름이 있는 545명의 이름과 이칭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鄭伯克段」 등 16편을 비롯하여, 권2에 「晉滅虞暠」 등 14편, 권3에 「子家書告趙盾」 등 12편, 권4에 「晉殺三郤」 등 15편, 권5에 「伍擧歸楚」 등 12편, 권6에 「晉平公有疾」 등 14편, 권7에 「郯子敍官名」 등 13편, 권8에 栢擧之戰 등 16편이 모두 112편이 수록되어 있다.『춘추좌씨전』은 공자가 지은 『춘추』에 左丘明이 전을 붙인 것인데, 분량이 너무 많고 상세하여 읽는 이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석정이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요한 부분만을 선별하여 이 책을 만든 것이다. 수록된 112편의 글은 해당 주제에 대한 한건의 사항이 정리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춘추좌씨전』의 본문을 고치지 않고서도, 그 가운데에서 중요한 것을 거의 뽑아 모았다는 정평이 나 있다.집필자
박찬흥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