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태조고황제건원릉추숭비(太祖高皇帝健元陵追崇碑)

자료명 태조고황제건원릉추숭비(太祖高皇帝健元陵追崇碑) 저자 이성계(李成桂), 이희(李熙), 이희(李熙), 이희(李熙), 미상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K2-5217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경기도 구리 (현재주소: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4-2)
· 작성시기 1900
· 비고 2-5217
1900년(건립)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이성계(李成桂)
이희(李熙)
이희(李熙)
이희(李熙)
미상

형태사항

· 유형 묘비문(墓碑文)
· 크기(cm) 273.7 X 97.3
· 판본 권자본(卷子本)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2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대한제국기에 태조(太祖)를 고황제(高皇帝)로 추숭(追崇)하며 세운 능표석(陵表石) 탁본.
원자료제목
· 표제태조고황제건원릉추숭비(太祖高皇帝健元陵追崇碑)
[내용 및 특징]
대한제국기인 1900년(광무 4) 조선 제 1대 국왕 태조의 건원릉에 세운 추숭비를 탁본하여 족자로 장황한 금석문이다. 전면과 음기를 각각 장황하였다. 전면과 음기 모두 고종의 어제어필이다. 비신의 높이는 230㎝, 폭은 99㎝, 두께는 35㎝이다. 장서각에 소장된 족자형 탁본은 전면과 음기가 각 2점씩이다. 4점 모두 미색 종이로 천리(天裏), 지리(地裏), 사양(四鑲)의 구분 없이 장황하였고, 풍대(風帶)도 없다.
전면에는 소전(小篆)으로 ‘대한/태조고황제건원릉(大韓/太祖高皇帝健元陵)’이라 새겨져 있다. 음기에는 태조의 묘호와 시호, 존호를 제시하였고, 탄생과 업적, 전위(傳位)와 승하, 왕위와 상왕위에 있었던 연수 및 향년, 장례일과 장지, 숙종과 고종이 올린 존호와 시호, 묘호 등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음기의 내용은 고종의 문집인 『주연집(珠淵集)』에 「건원릉표석음기(健元陵表石陰記)」라는 제명으로 실려 있다. 다만 『주연집』에는 음기 6행의 ‘소자사복지구년이(小子嗣服之九年以)’와 8행의 ‘금립표석우신도비지차 경서전면여음기 용신소자지미침언(今立表石于神道碑之次 敬書前面與陰記 庸伸小子之微忱焉)’이 빠져 있고, 마지막의 건립연대 또한 실려 있지 않다. 한편 『주연집』에는 이 비문의 찬술연대를 ‘계묘’ 즉 1903년(광무 7)이라 하였다. 그러나 『고종실록』37년(1900) 6월 29일 기사에서 고종이 건원릉, 제릉, 정릉, 융릉, 건릉, 인릉, 수릉의 비석 전후면을 직접 쓸 것이라고 하교하였으며, 또한 능표석에 건립연대를 광무 4년으로 새겨놓은 점으로 미루어 이 글의 찬술연대 또한 1900년으로 보는 편이 타당하다.
장서각에는 족자 형태의 건원릉추숭비 외에도 첩장 형태의 『고종어필건원릉비(高宗御筆健元陵碑)』(2-3896)가 소장되어 있고, 규장각에도 호접장 형태의 『건원릉표(健元陵表)』가 3점 소장되어 있다. 모두 1900년에 고종의 어제어필로 제작된 건원릉 표석의 탁본들이다.
고종은 1899년(광무 3)에 태조 및 조선의 선왕들을 황제로 추존하고서 그 이듬해 각 능의 표석을 어제어필로 써서 세우도록 하였는데, 건원릉추숭비 또한 이때 건립된 금석문이다. 이 밖에도 고종은 1899년(광무 3) 삼척 활기동의 《목조대왕구거유지비(穆祖大王舊居遺址碑)》, 전주 노동산의 《준경묘비(濬慶墓碑)》, 삼척 동산의 《영경묘비(永慶墓碑)》, 전주 건지산의 《조경단비(肇慶壇碑)》를 세울 때 직접 전면을 쓰고 음기를 지었으며, 그 이듬해 건립된 전주 오목대의 《태조고황제주필유지비(太祖高皇帝駐蹕遺址碑)》에도 직접 전면을 쓰고 음기를 지었다. 대한제국의 수립 이후 고종은 국가의 자주적 정통성을 천양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사업을 펼쳤는데, 이 금석문들도 그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료적 가치]
대한제국 선포 이후 황실 추숭사업의 일면을 엿볼 수 있고, 고종황제의 어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 / 『고종문집(高宗文集)』 /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Ⅱ-朝鮮王室 太祖~顯宗篇』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4. 『藏書閣所藏拓本資料解題Ⅰ-卷子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4.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