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초탑반운각(初搨攀雲閣)

자료명 초탑반운각(初搨攀雲閣) 저자 미상, 미상, 전영(錢泳), 미상, 전왈기(錢曰奇) 전왈상(錢曰祥)
자료명(이칭) 初榻攀雲閣 , 초탑반운각(初榻攀雲閣) 저자(이칭) [編者未詳]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3-526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미상 (현재주소: 미상)
· 작성시기 1808
· 비고 3526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미상
전영(錢泳)
미상
전왈기(錢曰奇) 전왈상(錢曰祥)

형태사항

· 유형 법첩(法帖)
· 크기(cm) 30.4 X 15.5
· 판본 첩장본(帖裝本)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16권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청나라에서 제작한 예서비(隸書碑) 임서(臨書) 모각첩(摹刻帖).
원자료제목
· 표제초탑반운각(初搨攀雲閣)
[내용 및 특징]
청(淸) 전영(錢泳, 1759-1844)이 50여 종의 한(漢)ㆍ위(魏)시대 예서비(隸書碑)를 임서하고 아들 전왈기(錢曰奇)ㆍ왈상(曰祥) 형제가 모각(摹刻)한 법첩(法帖)이다. 모두 16권으로 각권 제1면마다 “반운각임한비(攀雲閣臨漢碑)”라는 전서 제목이 새겨 있다. 또 표지 제첨에 “초탑반운각(初搨攀雲閣) 권(卷)○”이라 쓰고 그 아래에 [자경소장(子京所藏)]이란 양각의 소장인이 찍혀 있는데 ‘자경’이 누구인지는 미상이다.
원각에는 전영의 발문(1808년)을 비롯하여 江鳳彛(江鳳彛)ㆍ호원(胡源)ㆍ조혁린(曹奕麟)ㆍ전왈기(錢曰奇)ㆍ전왈상(錢曰祥)의 발문과 요원지(姚元之)ㆍ반혁준(潘奕雋)ㆍ장류(張鏐) 등의 관기(觀記)가 있는데, 장서각 본에는 권16 말미에 전영의 발문과 옹방강(翁方綱)ㆍ요원지ㆍ반혁준의 관기(觀記; 1809ㆍ1817)만 남아 있다. 그중 전영의 발문에 “가경 13년 봄 한위제비(漢魏諸碑) 50여 종을 임서하여 아들 왈기ㆍ왈상으로 하여금 가숙에서 새기게 하니 초학자의 관람을 위함이다” 하였는데, 여기의 가숙은 반운각을 가리키며 그 때문에 이 법첩을 ‘반운각임한비(攀雲閣臨漢碑)’ 또는 ‘반운각첩(攀雲閣帖)’이라고도 부른다. 또 전왈기의 발문에는 부친 전영이 1789ㆍ90년에 임서한 한위제비 몇 종을 류상남(劉湘南)과 양보풍(楊補馬風)을 위해 새기고 ‘반운각첩(攀雲閣帖)’이라 했으며, 그러다 1808년 봄에 부친이 그동안 임서한 한위제비 50여종을 추려 모각하여 1818년 8월에 이르러 완성했다고 하였다.
원각에는 권1 앞쪽에 필적목록이 있고, 권4ㆍ8ㆍ12ㆍ16의 말미에 각각 간기(“嘉慶十三年 歲在戊辰九月 虞山錢氏寫經堂摸勒上石”ㆍ“嘉慶十五年 歲在庚午五月 金匱錢氏寫經堂摸勒上石”ㆍ“嘉慶十九年 歲在甲戌三月 金匱錢氏寫經堂摸勒上石”ㆍ“嘉慶卄三年 歲在戊寅九月 金匱錢氏寫經堂摸勒上石”)가 있어 1808ㆍ10ㆍ14ㆍ18년에 네 권씩 모각하여 모두 16권을 완간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790년경의 초각은 2권이며 모각된 임서는 한예 11종(北海相景君碑, 石門頌, 乙瑛碑, 禮器碑, 孔宙碑, 武榮碑, 孔彪碑, 魯峻碑, 尹宙碑, 白石神君碑, 張遷碑)이다. 16권에 실린 한위제비는 아래와 같다.
권1 : 三公山碑, 崇山大室神道石闕銘, 邵善君題字, 北海相景君碑, 武氏石闕題字, 楊君石門頌
권2 : 乙瑛碑, 益州刺史李君碑, 孔謙碑, 曲阜孔君殘碑, 集孔宏碑字, 禮器碑 上
권3 : 禮器碑 下, 武榮碑, 鄭固碑, 蒼頡廟碑, 孔宙碑 上
권4 : 孔宙碑 下, 西嶽華山廟碑
권5 : 史晨後碑, 張壽碑, 衡方碑
권6 : 史晨前碑, 夏承碑
권7 : 西狹頌, 孔彪碑, 郙閣頌
권8 : 成陽靈臺碑, 楊淮碑, 魯峻碑
권9 : 曲阜東闕殘碑, 孔襃碑, 耿勳碑, 婁壽碑
권10 : 韓仁銘, 崇高山石闕銘, 尹宙碑, 溧陽長潘乾校官碑
권11 : 魏元丕碑, 白石神君碑, 曹全碑
권12 : 朱伯靈碑, 張遷碑
권13 : 小黃門譙敏碑, 圉令趙君碑
권14 : 樊敏碑, 戚伯著碑, 西門豹祠殘碑
권15 : 劉熊碑, 魏 孔羨碑, 魏 公卿上尊號奏
권16 : 鍾繇 受禪表, 魏 范式碑
임서를 한 전영은 강소(江蘇) 금궤인(金匱人)으로 만년에 상숙(常熟)에서 살았고, ‘오월왕손(吳越王孫)’ 또는 ‘구오인(勾吳人)’이라 자칭했다. 자는 입군(立群), 호는 “매화계상인가(楳華溪上人家)”를 줄여 매계(楳溪)라 했으며 당호는 낙석헌(樂石軒)ㆍ반운각(攀雲閣)ㆍ학고유획지재(學古有獲之齋)ㆍ사경루(寫經樓, 寫經堂) 등이다. 글씨와 각인(刻印)을 잘했고 비첩 새기기를 즐겨 성친왕(成親王)을 위해 《이진재첩(詒晉齋帖)》을 만들었다. 평소 주목했던 명적과 부탁받아 새긴 첩류(帖類)가 많았는데, 특히 《반운각첩》임서는 한위예비의 대강을 잘 소화해낸 예이다.
[자료적 가치]
청나라에서 글씨 교본을 위한 한위제비의 임모와 모각 사례를 확인할 수 있고, 조선으로의 유입상황을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玄秘塔碑』 中國法書選 45ㆍ『玄秘塔碑』 中國書法ガイド 45 / / 東京:二玄社, 1988. 『西安碑林 書法藝術』 / 陝西省博物館 編 / 陝西人民出版社, 1992. 『西安碑林博物館』 / 西安碑林博物館 編 / 陝西人民出版社, 2000. 『藏書閣所藏拓本資料解題Ⅱ-帖裝本』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5.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