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선묘어필(宣廟御筆)

자료명 선묘어필(宣廟御筆) 저자 미상, 미상, 이연(李昖),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宣廟御筆 , 선조어필(宣祖御筆) 저자(이칭) 선조(宣祖) , 宣祖(朝鮮王, 1552 - 1608) 御 , 선조(조선왕,1552-1608)어(宣祖(朝鮮王,1552-1608)御)
청구기호 K3-483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미상 (현재주소: 미상)
· 작성시기 1710
· 비고 3483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미상
이연(李昖)
미상
미상

형태사항

· 유형 법첩(法帖)
· 크기(cm) 45.0 X 32.3
· 판본 첩장본(帖裝本)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40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선조어필 탁본을 첩장으로 장첩한 책이다.
원자료제목
· 표제선묘어필(宣廟御筆)
[내용 및 특징]
조선왕조 제 14대 국왕 선조(宣祖, 1552-1608)의 어필을 목판에 모각하여 탁본한 첩이다. 내용은 당ㆍ송시 7수를 중자와 대자로 쓴 것이다(상세 목록은 3-484《선조어필》 해제 참조). 어필 목판을 장황함에 있어 선장(線裝)일 경우 인출된 낱장을 배접하여 반으로 접어 실로 꿰매거나 첩장(帖裝)일 경우 낱장을 첩 양면에 그대로 붙이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선묘어필》첩에서는 1장을 2면으로 잘라 테두리를 붙여 모두 40면으로 꾸몄다.
선조어필 목판본에 관해서는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의 『잡저록(雜著錄)』 「발반사인본선묘어필권하(跋頒賜印本宣廟御筆卷下)」에 상세히 적혀있다. 먼저 1630년 의창군(義昌君) 이광(李珖)이 새긴 “양가(兩家)…”에서 “…심수(深愁)”까지의 20폭이 있고, 1662년 여러 종실이 간진(刊進)한 “효제(孝悌)…”에서 난죽도(蘭竹圖)까지의 27폭이 있는데, 뒤에 이들 판목은 모두 대내로 들어갔다고 한다. 그 뒤 숙종의 왕명으로 “막괴빈과(莫怪頻過)…”와 “일조향로(日照香爐)…”의 칠언절구 2수를 5폭에 첨각하여 운각(교서관)에서 인출하고 종실에게 반사했다고 한다. 20폭, 27폭, 5폭을 더하면 모두 52폭이 된다.
이 선조어필 인본은 1630년(인조 8) 의창군 이광이 목판으로 간행한 것을 경인년(庚寅年)에 중간(重刊)한 것이다. 마지막 면에 “선묘어필(宣廟御筆) 경인중간(庚寅重刊)”이라 새겨 있는데, 경인은 1650년(효종 1)과 1710년(숙종 36) 가운데 후자로 여겨진다. 의창군(1589-1645)은 선조의 아들로 자는 장중(藏中), 호는 기천(杞泉)이다. 어머니는 김한우(金漢祐)의 딸 인빈김씨(仁嬪金氏)이며 부인은 양천허인(陽川許人) 성(筬)의 따님이다. 광해군의 패륜을 못내 한탄하다가 1618년(광해군 10) 모반죄로 주살된 허균(許筠, 허성의 이복동생)의 사건에 연좌되어 훈작을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풀려나 인조의 총애를 받으면서 《열성어필(列聖御製)》편집을 주도하는 등 왕실사업에 앞장섰다. 글씨에 능했는데 석봉체를 따랐다.
이 첩에 수록된 선조의 어필은 현판으로 모각되어 창덕궁 전각에 걸리기도 했다. 예를 들어 소옹(邵雍)의 시 「모춘음(莫春吟)」, 주희(朱熹) 시 「독리빈로옥간시우성(讀李賔老玉澗詩偶成)」을 모각한 시판(詩版)이라든지 이군옥(李羣玉)의 시 「우야정장관(雨夜呈長官)」 20자를 5자씩 분각(分刻)하여 창덕궁 영화당(映花堂)에 걸었던 편액 등이 국립고궁박물관에 전하고 있다. 선조의 어필은 명료한 획법과 단정한 짜임을 지녔는데 다만 획의 기울기가 좀 심한 편이다. 특히 해서는 당시의 명필 석봉 한호(韓濩, 1543-1605)와 상당히 유사하다.
[자료적 가치]
선조의 다양한 어필을 하나의 자료에서 감상할 수 있으며, 의창군에 의한 중간사실과 영화당 등 궁중에 게지된 사실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文化財廳 編, 『宮中懸板』, 1999. 「朝鮮王朝의 列聖御筆 刊行」 / 이완우 / 『文化財』 24호, 문화재연구소, 1991. 『藏書閣所藏拓本資料解題Ⅱ-帖裝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5.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