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자료명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저자 미상, 박거물(朴居勿), 미상,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저자(이칭)
청구기호 GO014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자료센터 해제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경상북도 경주시 (현재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 작성시기 872
· 비고 GO-014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박거물(朴居勿)
미상
미상
미상

형태사항

· 유형 사리함기(舍利函記)
· 크기(cm) 22.5 X 23.5
· 판본 낱장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6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황룡사의 9층 목탑을 중수하면서 기록한 자료의 탁본
원자료제목
· 표제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내용 및 특징]
통일신라 경문왕 11년에 왕의 명에 의해 중심사찰이자 성전사원인 황룡사의 구층목탑을 중수하면서 기록한 자료의 탁본이다. 황룡사 구층목탑의 건립 과정과 중수 과정을 후대의 역사서가 아닌 중수 당시에 제작된 유물을 통해 생생히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다른 말로 황룡사구층목탑사리함기라고도 부른다.
찰주본기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의 중심 초석에 넣어두었던 사리함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글자는 사리내함판에 음각으로 새겼는데, 3매의 판에서 현재 해독할 수 있는 글자는 모두 900여 자이다. 찰주본기를 지은 사람은 박거물(朴居勿)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요극일(姚克一)이다. 특히 황룡사 목탑 건립과 관련하여『삼국사기』나 『삼국유사』등 후대의 사서 기록과 상호 비교 검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찰주본기의 역사적·기록사적 위치가 중시되었다.
전반부의 내용은 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9층목탑을 창건한 경위에 관한 것이고, 후반부는 문성왕(文聖王)에서 경문왕대에 이르는 중수(重修)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말미에 9층목탑을 새로 짓기 위하여 설치한 여러 기관과 관계자들을 기술하였다. 특히 9층목탑을 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성전(成典)의 관직으로 최고 책임자인 감수성탑사(監脩成塔事)를 비롯하여 상당(上堂), 적위(赤位)와 청위(靑位), 황위(黃位)가 전하는데, 이것은 통일신라기 사원성전(寺院成典)의 구성과 운영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황룡사탑의 창건 연기설화와 규모를 알려주는 찰주본기의 내용은 『삼국유사』 기록과 거의 일치하여 학자들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금동사리함의 내외면에 쌍구체(雙鉤體)로 쓴 찰주본기는 9세기 대에 주로 쓰였던 서체로 염거화상탑지(廉巨和尙塔誌)(844년), 창림사 무구정탑원기(昌林寺 無垢淨塔願記)(855년), 중화3년명사리기(中和 3年銘 舍利器)(883년)등과 더불어 이 시기 유행했던 탑지(塔誌)의 서술체계는 물론 서체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외에도 사리장치 품목과 안치장소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고대 탑파의 사리장엄 의식 연구에도 소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사리함의 문비 내․외면에 선각된 신장상은 절대연대(872년)를 가진 유품으로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이 된다. 따라서 이 황룡사 금동사리함은 신라시대의 시대상을 담고 있는 역사적 유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보호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2015년 4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 1870호로 지정되었다.
[자료적 가치]
고대 탑파의 사리장엄 의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고, 사리함의 문비 내․외면에 선각된 신장상은 절대연대(872년)를 가진 유품으로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이 된다.

참고문헌

「皇龍寺九層塔의 歷史的 虛實」 / 박순교 / 『淸溪史學』16·1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淸溪史學會, 2002. 『韓國古代金石文綜合索引』 / 權悳永 / 학연문화사, 2002. 「新羅 中古期 佛敎治國策과 皇龍寺」 / 南東信 /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2001. 「皇龍寺址 調査와 硏究의 推移」 / 梁正錫 /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2001. 「皇龍寺 伽藍變遷過程에 대한 再檢討 -東·西建物址의 土層分析을 中心으로-」 / 梁正錫 / 『韓國古代史硏究』24, 2001. 「皇龍寺 木塔의 建築制度」 / 權鍾湳 /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2001. 「皇龍寺의 發掘成果」 / 申昌秀 /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22,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2001. 『新羅文化祭學術論文 -皇龍寺의 綜合的 考察-』 / / 慶州市·新羅文化宣揚會·東國大 新羅文化硏究所, 2001. 「新羅와 百濟의 交涉과 交流 -6·7세기를 중심으로-」 / 盧重國 / 『新羅文化』17·18合輯,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2000. 「新羅 下代 景文王의 佛敎政策」 / 曺凡煥 / 『新羅文化』16,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999.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 보물) 지정》(문화재청고시 제2015-50호) / 문화재청장 / 대한민국 관보 제18496호, 53면, 2015-04-22.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1997.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