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운천동신라고비(淸州 雲泉洞新羅古碑)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형식분류 | 고서-금석문 |
---|---|
· 내용분류 |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 소장처유형 |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작성지역 | 충청북도 청주 (현재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운천동) |
· 작성시기 | 686 |
· 비고 |
|
· 소장정보 |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미상 | ||||
미상 | ||||
미상 | ||||
미상 | ||||
미상 |
형태사항
· 유형 | 사적비(事蹟碑) |
---|---|
· 크기(cm) | 95.0 X 92.0 |
· 판본 | 낱장 |
· 탁본형태 | 습탁(濕拓) |
· 수량 | 3면 |
· 표기문자 | 한자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청주 운천동에서 발견된 신라 사찰의 사적비(寺蹟碑) 탁본.원자료제목
· 표제청주 운천동신라고비(淸州 雲泉洞新羅古碑)
[내용 및 특징]
흔히 ‘청주운천동사적비(淸州雲泉洞寺蹟碑)’로 불린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449번지 공동우물터에서 발견되었고,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내용 가운데 유(儒)·불(佛)에 관한 요소가 들어 있어 신라 중대 왕실의 사상정책은 불교로 하여금 유학을 포용하는 정책이었음을 보여준다.
비문의 중간에 ‘수공2년세차병술(壽拱二年歲次丙戌)’이란 간지가 있는 것으로 보아, 비의 건립연대는 수공 2년인 686년(신문왕 6)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국왕에 대한 축수(祝壽), 영역(領域)의 확대 등에 대한 문구와, 무엇보다도 연대 표시 아래 사찰의 건축 사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신라 통일기의 사적비(寺蹟碑)로 추정하고 있다.
비신 전체가 남지 않은 단비(斷碑)로 전하며 현재 남은 부분은 높이 95cm, 너비 92cm이며, 글자를 3면에 새겼다. 글자의 마멸이 심하여 비문의 전체 내용을 판독하기 어렵다. 원래는 이수(螭首)와 귀부(龜趺)도 있었으리라 여겨진다. 명문(銘文)은 해서로 음각했는데 보존 상태가 매우 나쁘다. 본래 주위에 선을 두른 흔적이 보이나, 정간(井間)을 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원래 비문에 몇 자가 씌어 있었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현재 삼면에 1만 글자가 보이며, 약 160자 정도가 판독된다. 비문의 내용은 불법(佛法)을 찬양하고, 왕의 덕과 전쟁의 참화가 끝나고 삼국이 통일된 것에 대해 칭송하고, 영토의 확장과 국태안민(國泰安民)을 기원하는 것이다.
판독 가능한 부분에 불법과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삼국통일에 따라 신라의 영역이 확대되었다고 언급한 내용 등이 보인다. 이밖에도 686년에 사문 보혜(普慧)가 초라한 건물을 새로이 수리한 사실, 그의 제자인 해심법사(海心法師)가 근래에 보기 드물게 명민한 승려라고 언급한 내용 등이 확인된다.
[자료적 가치]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신라인의 자긍심을 살필 수 있고, 통일직후 불교사상과 그에 대한 신라정부의 대책 등을 단편적으로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淸州 雲泉洞 新羅寺蹟碑 再檢討」 / 신정훈 / 『白山學報』 65, 2003
『韓國古代金石文綜合索引』 / 權悳永 / 학연문화사, 2002
「청주지역 불교유적·유물의 편년 검토」 / 김춘실 / 『忠北史學』 8, 1995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Ⅱ / / 國史編纂委員會, 1995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Ⅱ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編 /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淸州地域의 佛蹟」 / 李鍾春 / 『論文集』 23, 청주교육대학, 1986
「淸州 雲泉洞 古碑 調査記」『湖西文化硏究』 3 / 車勇杰 / 충북대 호서문화연구소, 1983
「西原 新羅寺蹟碑에 대하여」 / 李丙燾 / 『湖西文化硏究』 3, 충북대 호서문화연구소, 1983
「淸州 雲泉洞 發見 新羅寺蹟斷碑 淺見 二三」 / 任昌淳 / 『湖西文化硏究』 3, 충북대 호서문화연구소, 1983
「淸州 雲泉洞 出土 金銅菩薩 立像과 銅鐘」 / 金永培 / 『考古美術』 105, 韓國美術史學會, 1970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Ⅰ』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학진흥연구사업추진위원회, 1997.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