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초서집자첩(草書集字帖)

자료명 초서집자첩(草書集字帖) 저자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자료명(이칭) 초서집자첩칠(草書集字帖七) , 草書集字帖 저자(이칭) 서자미상(書者未詳) , [書者未詳]
청구기호 K3-525 MF번호
유형분류 고서/금석문 주제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수집분류 왕실/고서 자료제공처 장서각자료센터(SJ_ROY)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장서각자료센터 이미지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형식분류 고서-금석문
· 내용분류 교육/문화-예술-금석문
· 소장처유형 공공기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지역 미상 (현재주소: 미상)
· 비고 3525

· 소장정보 원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현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형태사항

· 유형 자례서(字例書)
· 크기(cm) 28.2 X 18.6
· 판본 첩장본(帖裝本)
· 탁본형태 습탁(濕拓)
· 수량 2첩 64면
· 표기문자 한자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중국 역대 행초서 명가의 낱글자를 새겨 탁본한 자례서(字例書).
원자료제목
· 표제초서집자첩(草書集字帖)
[내용 및 특징]
중국 역대 명필의 필적을 낱글자 분류하여 새긴 자례서(字例書)로 2첩의 석각인본이다. 각각의 표지 제첨에 “초서집자첩(草書集字帖) 제일(第一)”ㆍ“초서집자첩(草書集字帖) 제이(第二)”라 적었다. 제1첩은 주묵(朱墨)으로 찍었고 제2첩은 먹으로 찍었다. 흔히 자례서 앞쪽에 실리는 서문이나 범례ㆍ서가명단이 없어 편집자나 간행시기를 알 수 없다. 다만 제1첩 제19면에 “귀경당박고첩(歸耕堂博古帖) 제칠(第七)」육화부(六畫部)”라는 서명과 편차가 새겨 있고 제2첩 제9면에도 “육화부(六畫部)”라는 편차가 있어, 귀경당에서 옛 필적을 널리 모아 7첩 이상으로 획수에 따라 편집하여 새긴 법첩임을 짐작할 뿐이다. 이에 관해서는 청(淸) 용경(容庚)의 『총첩목(叢帖目)』에도 보이지 않는다.
각 면에 새긴 면차(面次)는 빠진 면이 많고 순서도 뒤섞였으며, 한 면에 원각 2면을 잘라 붙인 것도 있다. 그중 제2첩 제18면의 면차가 ‘53’으로 가장 뒤인데, 거기의 8획 ‘靑’으로 보아 原刻은 더 많았을 것이다. 또 면차 3, 7, 9, 28, 52가 제1첩과 제2첩에 똑같이 실렸고 면차는 같으나 필적이 다른 경우도 있다. 편집 순서는 획수를 기본으로 했는데 획수가 부수일 경우도 있고 낱글자에 편방을 붙인 글자를 한데 모은 경우도 있다..
수록된 자례는 역대 제왕과 한(漢)ㆍ진(晉)ㆍ남조(南朝)와 당(唐)ㆍ송(宋)ㆍ원(元)ㆍ명대(明代) 필적이다. 그중 당(唐) 회소(懷素)와 명(明) 장필(張弼)의 분방한 대자 초서와 송(宋) 미불(米芾)의 대자 행서가 눈이 띤다. 각 첩에 실린 글자는 아래와 같다. ( ) 속의 수자는 面次이며 /는 面 구분이다..
* 제1첩:(3)南 萬/(12)而 年/揥帝禘啻諦/(28)國圓團圖圉/(19)九究仇紈丸熱執/(16)崖涯 産 瓊 洲州/(12)廣黃橫 寅演/(?)吉梏告造遠/(11)鳳 鸞鳧鵠/(7)鳥/(18)遙繞饒燒翹蕘嬈曉/(34)裘衣裏表/老/(7)此 再 北比毘芘/(41)內納 彫調周/劉 圖圓因 宋 壇/(23)世 神/(11)麗儷 橫廣曠/(1)“歸耕堂博古帖 第七 六畫部” 年/月 明/遠遊/(40)園因固涸/(3)閣蘭/(9)鴈雁鴻鶴/(52)爾稱尒彌/(17)竟鏡 沈枕耽 冠寇/斑 佳挂卦掛桂圭畦罣珪鞋/(44)羲之羲義議..
* 제2첩:(3)南 萬/年 載戴/(13)望 聖/(12)皇惶 往/百 百代 (28)國圓團圖圉/(41)道 成/文 志表 德 蘂荒/達 庭/海每/(39)遙瑤搖/(41)平 “六畫部” (1)小年/(52)爾稱尒彌/(38)遺遣繾/爰緩媛暖援/(41)欲吹欣/(34)高搞藁嵩敲/營 心必 復腹/(53)淸情/(2)睡垂缺郵 南/(4)遇愚偶寓禹竊 厲 京凉/靜精晴 所/(25)係緊潔繫繁累 羽翁/(2)移 委/(24)幽 繼 玄絃眩弦炫鉉紅/風 鸞鳧鵠/(26)翠扇煽翼羽/(10)鸎鷗/(9)鴈雁鴻鶴/(7)鳥/(8)島搗鳴鳥/寥翶翔翰膠謬翊翎翳榻翹翩/凌楞棱稜綾菱陵 (11)平/金/(9)波坡彼 鼓/鶴鵲鳴 駸駕騎/焉鳴 騎駐..
이상으로 보아 이들 첩은 주탁ㆍ묵탁한 《귀경당박고첩》잔본을 ‘초서집자첩’이란 명칭을 붙여 개장한 것이라 여겨진다. 초서가 많으나 해서ㆍ행서도 적지 않으므로 ‘초서집자첩’이란 이름은 부적절하며 ‘귀경당박고첩 잔본’이라 해야 옳다. 편간 시기는 미상이나 석량(石梁, 호 竪菴)이 편집한 『초자휘(草字彙)』(12권, 1787년 후서) 등의 청대 자례서와 체제가 유사하다.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에 중국본 초서 자례서의 유통과 그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참고문헌

『총첩목(叢帖目)』 / 容庚 / 『藏書閣所藏拓本資料解題Ⅱ-帖裝本』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5.

집필자

성인근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