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청음선생연보(淸陰先生年譜)

자료명 청음선생연보(淸陰先生年譜) 저자 송시열(宋時烈)
자료명(이칭) 淸陰先生年譜 저자(이칭) 宋時烈(朝鮮) 等編
청구기호 K2-836 MF번호 MF35-1878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別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67(영조 43년)
· 청구기호 K2-836
· 마이크로필름 MF35-1878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송시열(宋時烈) 등(等)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33.4 X 22.7
· 판본 목판본(木版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권(卷)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24.1×18.0cm
· 인장 海平, 尹祖榮章, 龍巖, 李王家圖書之章, 敬家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淸陰 金尙憲(1570~1652)의 연보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 書根題는 ‘淸陰年譜’, 版心題는 ‘淸陰先生年譜’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 冊次가 ‘全’ 으로 기재되어 있다. 卷末에 실린 跋의 내용을 통해 본서가 1767년(영조 43)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 우측 하단에는 ‘海平’, ‘尹祖榮章’, ‘敬家’, 권말 좌측 하단에는 ‘龍巖’이 날인되어 있어 조선 말기의 문신 윤조영(1841~?)의 소장본임을 알 수 있다.
체제 및 내용
본서의 卷頭에는 1664년尤庵 宋時烈(1607~1689)이 쓴 서문이 있고, 卷尾의 발문은 1767년김상헌의 현손인 金用謙이 識했다. 2권으로 되어 있는데, 제1권은 1570년 漢陽城南의 외가에서 출생한 후 1627년 정묘호란까지의 기록이며, 제2권은 崇禎 원년(1628, 59세) 정월부터 1764년顯節祠에 致祭한 것까지 기록되어 있다.
범례 3則에 의하면, 본 연보는 家乘 등을 토대로 하여 편집했으며, 청음 김상헌이 백부(三嘉公 金大孝)에게 出系했기 때문에 생부(都正公 金克孝)를 일컬을 때에는 반드시 私親이라는 표현을 사용했고, 대명의리론에 의해 崇禎 이후에도 숭정 연호를 계속 사용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연보의 신축(1661, 현종 2) 이전은 송시열이 편집했고, 무신(1668, 현종 9) 이후와 子孫續錄, 石室廟庭碑는 새로 補入한 것이라고 한다. 본 연보는 우암 송시열1664년에 編定했으나, 100여 년이 지나도록 간행하지 못하고 있던 것을 1767년에 보완하여 발간한 것이다.
청음 김상헌1570년에 태어나 3세에 백부에게 출계하였으며, 1585년 16세에 尹根壽(1537~1616)에게 학문을 배웠다. 21세인 1590년에 진사시에 2등으로 급제하고, 27세에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선조 대에 출사하여 인조 대에는 대사헌 예조판서에까지 이르렀으며, 병자호란 이후에는 척화신으로 지목되어 심양에 끌려가 4년간 볼모 생활을 하기도 했다. 1645년 소현세자와 함께 귀국했지만, 여전히 斥和臣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인조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해 벼슬을 단념하고 石室로 나아가 은거하였다. 효종 즉위 후에는 좌의정에 추대되기도 했다.
특성 및 가치
청음 김상헌의 생애와 관직 활동, 척사 활동 및 후대의 추숭 과정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김상헌에 대한 송시열의 평가를 엿볼 수 있다.

집필자

임선빈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