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친군우영도안(親軍右營都案)

자료명 친군우영도안(親軍右營都案)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親軍右營都案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609 MF번호 MF35-188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官·軍案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전자도서관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84](고종 21년)
· 청구기호 K2-609
· 마이크로필름 MF35-1887
· 기록시기 [1884年(高宗 21) 以後]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41.1 X 22.5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절첩장(折帖裝)
· 수량 1책(冊)
· 판식 반곽(半郭) 35.2×23.0cm
· 인장 藏書閣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82년(고종 19)에 창설된 친군우영 소속 군병의 명단을 수록한 책이다.
서지사항
본 도서의 작성 연대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본문에 기재된 간지가 甲申年에서 그치므로 1884년(고종 21)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체제 및 내용
친군우영에 소속된 군병들의 명단을 모두 수록하였다. 친군우영은 청나라 군대 방식으로 훈련받은 장정들을 편제하여 1882년 11월에 창설된 중앙 군영이다.
명단의 앞부분에는 兵房·文案·軍司馬·領官·前哨哨官·左哨哨官·中哨哨官·右哨哨官·後哨哨官·軍醫·別軍官·前哨哨長·左哨哨長·中哨哨長·右哨哨長·後哨哨長·執事·前哨哨書·左哨哨書·中哨哨書·右哨哨書·後哨哨書·奇別書吏·大廳直·前哨敎習·左哨敎習·中哨敎習·右哨敎習·後哨敎習·銅號手 등 지휘부와 행정담당관, 훈련담당관 및 전령의 명단이 실려 있다. 병방에서 대청직까지는 직위와 성명, 보임된 연월이 밝혀져 있으며, 직급에 따라 병방은 ‘落點’, 文案에서 군의까지는 ‘啓下’, 별군관에서 대청직까지는 ‘差下’로 구별하여 적었다. 교습관과 동호수의 경우는 직위, 이름, 나이 및 생년(간지로 표시), 아버지의 이름과 족친의 성명, 주거지, 抄定된 연월, 보증인의 성명 순서로 미리 작성된 양식에 맞추어 기재하였다. 이러한 기록 방식은 일반 군병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본문에는 前哨에서 後哨까지 5개 초에 속하는 병사 전원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각 초는 7~8개의 隊로 구성되며 대마다 什長 1인, 兵勇 14인, 火兵 1인씩이 속하였다.
말미에는 長夫·都廳候兵·兵房候兵·文案候兵·軍司馬候兵·前哨候兵·左哨候兵·中哨候兵·右哨候兵·後哨候兵·軍醫候兵·哨長候兵·執事候兵·哨書候兵·印信直(미정)·大廳軍士·銅號手火兵·淸敎司火兵·通事火兵·桑田直·馬夫 등 보조 병력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청군의 영향을 받아 편제되고 훈련받는 군영이므로 通事가 편제되어 있고 병사들을 ‘兵勇’이라 칭하는 등 기존 군영과 차이점이 보인다.
특성 및 가치
친군우영의 편제와 구성, 소속 군병의 성명과 인적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다.

집필자

강석화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