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동국명현기록(東國名賢記錄)

자료명 동국명현기록(東國名賢記錄)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東國名賢記錄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402 MF번호 MF35-723, 965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傳記類/叢傳/一般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원문텍스트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PDF

· 원문이미지

닫기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721(경종 1년)
· 청구기호 K2-402
· 마이크로필름 MF35-723, 965
· 기록시기 1721~1775年(景宗 1~英祖 51)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유일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29.8 X 19.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외 2顆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시대 주요 인물의 호를 분류하여 정리한 책이다.
서지사항
表紙書名과 書根題는 ‘東國名賢記錄’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單’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1면 우측 하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제2면 우측 하단에는 판독이 어려운 개인 인장 2과가 날인되어 있다. 본문은 괘선이 없는 종이에 필사하였는데, 전체적으로 결락된 부분이 많아 배접되었다. 이 책은 역대 名賢들의 號를 분류한 것으로 서미에는 주색으로 ‘齋’, ‘峯’ 등의 색인어를 기재하였고, 묵으로 교정한 흔적이 있다.
체제 및 내용
찬자와 편찬 시기는 알 수 없다. 구성은 호를 배열한 후 그 밑에 해당 인물의 이름을 쓰고 그 아래에 작은 글씨로 자, 본관, 가족 관계, 사승 관계, 과거 급제 왕대, 최고 관직, 주요 경력, 추증, 시호, 배향 서원, 문집 여부 등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호 나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峯, 堂, 齋, 庵, 窩, 軒, 亭, 窓, 雜, 村, 里, 門, 圃, 園, 塘, 雜, 洞, 田, 郊, 州, 臺, 城, 雜, 郭, 塢, 山, 岡, 岳, 厓, 巖, 石, 谷, 皐, 坡, 陵, 雜, 海, 溟, 江, 湖, 浦, 川, 溪, 澗, 潭, 灘, 泉, 淵, 洲, 渚, 汀, 沙, 雜, 陰, 南, 西, 北, 松, 竹, 雜, 舟, 雲, 雜, 隱, 翁, ., 雜, 夫, 雜, 稱號 등이다. 중간중간에 ‘雜’이 있는데, 이는 앞 글자와 의미상 관련 있는 글자가 들어가는 호를 모은 것으로 가령 雲 다음의 雜은 ‘杏雨’처럼 雲과 雨의 연관성을 감안하여 호를 분류한 것이다. 마지막의 稱號는 山人, 散人, 居士 등을 말한다.
첫머리에는 본서를 편찬할 때 사용한 문헌과 저자를 소개하였다. 尹根壽의 『月汀漫錄』, 柳成龍의 『懲毖錄』, 許筠의 『鶴山樵談』과 『荷谷瑣語』, 李睟光의 『芝峯類說』, 朴東亮 『寄齋雜說』, 李耔의 『陰涯日記』, 李陸의 『靑坡劇談』, 南孝溫의 『秋江冷語』, 鄭眉壽의 『閑中啓齒』, 李大期의 『雪壑謏聞』, 申翊聖의 『樂全漫錄』, 姜栢年의 『閒溪漫錄』, 權應仁의 『松溪漫錄』, 申澍沆의 『靈川雜稿』, 成俔의 『慵齋叢話』, 曺偉의 『梅溪記聞』, 周世鵬의 『武陵雜篇』, 柳夢寅의 『於于野談』, 奇遵의 『德陽日記』, 金正國의 『思齋摭言』, 鄭士元의 『僭言』, 李穆의 『李評事集』, 姜淮伯·希顔·希孟의 『晉山世稿』, 魚叔權의 『稗官雜記』, 金時讓의 『荷潭破寂錄』, 『涪溪記聞』, 『紫海瑣錄』, 曺伸의 『謏聞瑣錄』, 李德泂의 『竹窓閑話』, 金安老의 『龍泉談寂錄』, 朴世茂의 『童蒙先習』, 柳荷潭의 『銀臺日記』 등이 그것이다.
특성 및 가치
조선시대 인물의 호에 관한 연구에 참고가 되는 자료다.

집필자

이동인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