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춘추일기(春秋日記)

자료명 춘추일기(春秋日記) 저자 내의원(內醫院) 편(編)
자료명(이칭) 춘추일기 약방(春秋日記 藥房) , 춘추일기,약방(春秋日記,藥房) , 춘추일기, 약방(春秋日記, 藥房) 저자(이칭) [編者未詳] , 내의원 , 편자미상(編者未詳)
청구기호 K2-3617 MF번호 MF35-1206~1208
유형분류 고서/일기 주제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장서각자료센터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PDF

· PDF서비스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1868](고종 5년)
· 청구기호 K2-3617
· 마이크로필름 MF35-1206~1208
· 기록시기 [1868~1902年(高宗 5~光武 6)]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내의원(內醫院) 편(編)

형태사항

· 크기(cm) 41.9 X 28.6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18책(冊)
· 판식 반곽(半郭) 29.6×23.8㎝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68~1902년(고종 5~광무 6) 왕실의 진료를 맡아 본 內醫院의 업무를 수록한 일기이다.
서지사항
표제는 ‘春秋日記’이다. 서근제는 ‘戊辰春秋日記’로 되어 있으며, 각 책마다 간지만 바뀌는 방식이다. 표지 장황은 민무늬 황색 마분지에 흰색 실로 선장한 개장본이다. 앞표지 우측 상단에 ‘高宗戊辰’, ‘藥房’이 적혀 있는데, 이것 또한 각 책마다 간지만 바뀐다. 본문의 판식은 四周雙邊과 上內向二葉花紋魚尾에 14행인 인찰공책지를 사용하였다. 지질은 품질이 좋은 楮紙이다. 본문의 글씨는 14행 28~32자에 따라 楷書로 적어놓았다. 책 수는 不分卷 18책이다. 책의 크기와 서근제의 형태, 그리고 내용으로 보아 『藥房日記』(K2-3613)와 한 질로 추정된다.
체제 및 내용
본 문서는 1868~1902년(고종 5~광무 6) 내의원의 인사 내용과 업무를 정리한 일기이다. 藥房은 내의원의 이칭이다. 총 18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책은 1년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1868년(고종 5), 2책은 1870년(고종 7), 3책은 1874년(고종 11), 4책은 1875년(고종 12), 5책은 1877년(고종 14), 6책은 1878년(고종 15), 7책은 1881년(고종 18), 8책은 1884년(고종 21), 9책은 1886년(고종 23), 10책은 1891년(고종 28), 11책은 1892년(고종 29), 12책은 1893년(고종 30), 13책은 1896년(건양 1), 14책은 1897년(광무 1), 15책은 1898년(광무 2), 16책은 1899년(광무 3), 17책은 1901년(광무 5), 18책은 1902년(광무 6)이다. 내의원에서는 매년 일기를 남긴 것으로 보이나, 현재 전하지는 않는다.
이 문서는 장서각에서 소장 중인 『藥房日記』와 체제와 내용이 매우 흡사하다. 편년체로 서술되어 있고, 간지, 월일, 날씨 등을 서두에 쓰고 난 후 내용을 적는 전형적인 일기 형식이다. 내의원은 정3품으로 이 수장이었으나, 직계권이 없었던 까닭에 도제조제조가 임명되었다. 내용의 대부분은 내의원도제조제조가 국왕을 비롯한 왕족에게 문안하는 기사이다. 도제조는 의정을 지낸 대신이 맡았고, 제조는 2품 이상의 관원이 임명되었다. 매년 정월에는 ‘醫官單子’가 제출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그 명단은 없다. 문안은 통상 국왕, 대왕대비, 왕대비, 중궁전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내의원의 입시는 대부분 궁궐 내에서 이루어졌지만, 朔望祭, 社稷祭, 幸行, 春塘臺試 등 국가의 공적 업무를 위해 궁궐 밖에 나갔을 때에도 행해졌다. 입시가 이루어지면 그곳에 참여한 도제조제조내의원 관원의 명단이 기록되었다. 永寧殿이나 儲慶宮 전배 등으로 거둥했을 때는 시위관과 장무관도 따라 갔는데 보통 시위관은 4員, 장무관은 1員이었다. 그리고 문안 인사와 함께 내의원 관원에 대한 인사 처리, 국왕이 복용하던 약재명도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19세기 중엽 조선 왕조의 의료기관인 내의원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이다. 그리고 질병에 대한 처방 내역이 있으므로 한의학적으로도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장서각 소장의 『藥房日記』가 1842~1863년(헌종 8~철종 14)까지의 일기라고 한다면 『春秋日記』는 그 이후 일기이므로 내의원 연구의 시기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이규근, 「朝鮮 後期 內醫院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집필자

문광균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