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國語)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국어 |
---|---|
· 자료명(한자) | 國語 |
· 사부분류 | 사부 |
· 작성시기 | 1668(현종 9년) |
· 청구기호 | K2-315 |
· 마이크로필름 | MF35-1883 |
· 기록시기 | 1668~1703年(顯宗 9~肅宗 29)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좌구명(左丘明)(주(周)) 찬(撰) | 좌구명 | 左丘明 |
형태사항
· 크기(cm) | 33.4 X 22.0 |
---|---|
· 판본 |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무신자(戊申字))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21권(卷) 6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4.8×17.2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西原世家, 韓譽, 庸軒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중국의 주 왕실과 춘추시대 제후국의 역사를 나라별로 기록한 『國語』를 저본으로 조선에서 인출한 책이다.서지사항
表紙書名, 版心題, 書根題는 모두 ‘國語’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앞표지 우측 상단에 편명이, 書腦 하단에 ‘共六’이 기재되어 있다. 각 책 제1장에는 ‘西原世家’, ‘韓譽’, ‘庸軒’,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인출 시기는 고려대학교 소장 동일본(육당 B3 A4A)에 날인된 靜齋
柳命賢
(1643~1703)의 장서인을 통해 볼 때 戊申字가 주조되었던 1668년(현종 9)에서 유명현
이 사망한 1703년(숙종 29)까지로 추정할 수 있다.체제 및 내용
본서의 저자는 左丘明(B.C. 556~B.C. 451)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관해서는 여전히 쟁론 중이다. 권수에 宋庠의 國語補音敍錄, 목록, 校補國語凡, 張一鯤의 刻國語序, 韋昭의 國語解敍가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서 다루는 시기는 周 穆王이 大戎을 정벌하려던 시기인 B.C. 947년부터 智伯이 멸망한 때인 B.C. 453년까지로, 권1~3은 周語, 권4~5는 魯語, 권6은 齊語, 권7~15는 晉語, 권16은 鄭語, 권17~18은 楚語, 권19는 吳語, 권20~21은 越語로 구성되어 있다.특성 및 가치
춘추 시기의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문화 등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어서 선진 시기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사 서적이다.집필자
김소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