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구기(玄駒記)
· 원문이미지

· MF이미지

· 기본정보 해제 xml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 현구기 |
---|---|
· 자료명(한자) | 玄駒記 |
· 사부분류 | 사부 |
· 작성시기 | 사년미상(寫年未詳) |
· 청구기호 | K2-311 |
· 마이크로필름 | MF35-1548 |
· 소장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가치정보 | 유일본 |
작성주체 - 인물
역할 | 인명 | 한글 | 한자 | 설명 | 생몰년 | 신분 |
---|---|---|---|---|---|---|
박종겸(朴宗謙) 편(編) | 박종겸 | 朴宗謙 |
형태사항
· 크기(cm) | 26.5 X 16.8 |
---|---|
· 판본 | 필사본(筆寫本) |
· 장정 | 선장(線裝) |
· 수량 | 4권(卷) 2책(冊) |
· 판식 | 반곽(半郭) 21.5×13.8cm |
· 인장 |
李王家圖書之章
|
· 상세정보

내용
정의
朴宗謙
(1744~1799)이 사도세자
의 탄생과 죽음에 이르는 전말과 정조
대 사도세자
관련 사건과 처분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책이다.서지사항
表紙書名은 ‘玄駒’이며, 書根題는 없다. 표지는 황색 바탕에 卍字紋이며, 四針眼으로 裝幀되었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冊次가 ‘上·下’로 표기되어 있다. 각 책 제1면 우측 상단에는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제1면 우측 하단에는 원래 장서인이 있던 것을 도할한 흔적이 있다. 본문은 上下向內向二葉花紋魚尾의 목판 인찰공책지에 필사하였는데, 첨지를 붙여 내용을 보충한 것도 있다.체제 및 내용
‘玄駒’는 사도세자
의 사망 연도인 1762년(영조 38) ‘壬午’를 가리킨다. ‘玄駒’라는 제목 외에, ‘玄駒記原編’·‘玄駒紀聞’·‘玄駒記事’·‘玄皐記’ 등의 異名으로도 많이 필사되었다. 그중 가장 널리 알려진 자료는 『玄皐記』이다. 서·발문과 목차가 없다. 권1·2는 「原編」 上·下, 권3·4는 「續編」 上·下로 구성되었다. 규장각본(古4250 -27) 해제에 따르면 박종겸
이 부친의 초본을 토대로 원편을 만들고 정조
등극 후의 일들을 속편으로 만들었다고 하였다.원편은 효장세자 의 죽음, 효장세자 사후 建儲 논쟁, 사도세자 의 출생과 성장하면서 생긴 일, 사도세자 의 대리청정 시작, 영조 와 사도세자 의 갈등, 영조 와 사도세자 를 이간질하는 신하들의 행태, 사도세자 를 지지하는 신하들의 노력, 정순왕후 ·숙의 문씨 ·화완옹주 등 사도세자 를 모함하는 왕실 인척들의 동향, 나경언 의 고변 사건, 사도세자 의 죽음, 세손[정조 ]의 대리청정, 영조 의 전위 전교 등이다.
속편은 정조 의 즉위, 김구주 ·정이환 등의 숙청, 현륭원 건축, 정조 의 현륭원 행차, 영남 유생들이 올린 壬午義理 천명 상소 등이다. 권말에 1800년(정조 24) 5월 정조 가 승하하기 직전에 내린 「五晦筵敎」가 부록으로 실려 있는데, 후대에 덧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집필자
이경구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