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rl:./treeAjax?siteMode=prod}
홈으로 > 자료분류 > 수집분류/왕실/고서

총사(叢史)

자료명 총사(叢史) 저자 편자미상(編者未詳)
자료명(이칭) 叢史 저자(이칭) [編者未詳]
청구기호 K2-303 MF번호 MF35-307
유형분류 고서/기타 주제분류 史部/雜史類
수집분류 왕실/고서/한국본 자료제공처 장서각(SJ_JSG)
서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전자도서관 해제 장서각
원문텍스트 디지털아카이브 이미지 장서각통합뷰어* 원문이미지 디지털아카이브 MF-PDF

· 원문이미지

닫기

· MF이미지

닫기

· 기본정보 해제 xml

닫기

일반사항

· 자료명(한글) 총사
· 자료명(한자) 叢史
· 사부분류 사부
· 작성시기 사년미상(寫年未詳)
· 청구기호 K2-303
· 마이크로필름 MF35-307
· 소장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치정보 귀중본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한글 한자 설명 생몰년 신분
편자미상(編者未詳)

형태사항

· 크기(cm) 31.2 X 22.0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불분권(不分卷) 2책(冊)
· 인장 李王家圖書之章

· 상세정보

닫기

내용

정의
조선 세조 에서 연산군 연간까지의 사실을 기사본말체로 기록한 역사서이다.
서지사항
紙質을 통해 1800년대 이후에 頭註와 함께 정서한 것으로 추정된다. 誤字를 刀割한 후 종이를 덧대어 수정한 흔적이 있다. 앞표지에 표지 서명인 ‘叢史’와 冊次인 ‘乾·坤’이 필사되어 있다. 일부 충해 부분을 배접하였다. 각 책 제1면에 ‘李王家圖書之章’이 날인되어 있다. 서명은 표지 서명에 의한 것이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乾·坤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기사 외에 分註로 인용서목 및 참고 사항을 서술하였고, 頭註로 보충한 곳도 있다. 인용서목으로는 『東閣雜記』, 『海東野言』, 『寄齋雜記』, 『名臣錄筆苑』, 『稗官雜記』, 『月汀漫錄』, 『謏聞瑣錄』, 『三國史節要』, 『龍泉談寂記』 등 관찬·사찬 역사서 및 문집이 활용되었다.
본서는 1467년(세조 13) 李施愛 의 난을 시작으로, 征建州衛野人의 사건을 실었다. 世祖 아래에 世祖故事, 世祖撰述, 世祖廟庭配享三人, 世祖朝相臣을 실었는데, 상신으로는 鄭麟趾 , 李思哲 , 鄭昌孫 , 姜孟卿 , 申叔舟 , 權擥 , 韓明澮 , 具致寬 , 李仁孫 , 黃守身 , 沈澮 , 朴元亨 , 曺錫文 , 洪達孫 , 崔恒 , 龜城君  李浚 , 康純 , 金礩 , 洪允成 , 姜希顔 , 李季甸 , 韓繼禧 가 略傳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德宗 의 故事에 이어, 睿宗 때는 南怡獄錄翊戴功, 閔粹史獄을 사건으로 다루었고, 睿宗廟庭配享, 睿宗朝相臣을 수록했는데, 상신은 尹子雲 , 金國光 , 尹士昐 이며, 별도로 睿宗朝文衡으로 徐居正 의 열전을 수록했다.
成宗故事는 尹妃冊立廢死本末, 尹弼商夾攻建州, 許琮征野, 睿宗廟庭配享 등이다. 成宗朝相臣 항목에는 韓伯倫 , 成奉祖 , 尹士昕 , 尹弼商 , 洪應 , 李克培 , 盧思愼 , 許琮 , 尹壕 , 愼承善 , 孫舜孝 , 權景祐 , 梁誠之 , 李承召 , 洪興 , 李坡 , 李約東 , 姜希孟 , 韓繼禧 , 兪好仁 , 鄭碩堅 , 鄭蘭宗 , 蔡壽 , 李則 등이 수록되었고, 諸臣事蹟에는 崔淑精 , 尹孝孫 , 丘從直 의 기록이 있다.
廢主燕山君故事本末에는, 燕山故事 아래 廢妃尹氏復立, 戊午史禍, 甲子死禍, 柳濱李顆等檄, 丙寅靖國推戴中宗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성 및 가치
본서는 세조 에서 연산군 연간까지의 사실을 기록한 역사서로, 전형적인 기사본말 형식을 취하고 있다. 조선 후기 역사서의 기사본말체가 『燃藜室記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료이다.

집필자

오항녕
범례
  • 인명
  • 관직명
  • 나라명
  • 건물명
  • 관청명
  • 지명
  • 연도
  • 문헌명
  • 기관